사라진 독점… 또 다른 산 ‘공급 부족’
수영강습 등 전원 추첨제로 개선
“습관 들였는데” 기존 회원 불만
생활체육 증가에 장기 대책 필요

인천 각 기초자치단체가 운영 중인 공공체육시설들이 강습 프로그램 회원 모집 등에 ‘추첨제’나 ‘온라인 예약제’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동호회 등이 독점하던 공공체육시설의 이용 기회를 공정하게 주민들에게 제공하겠다는 취지다. 생활체육 수요가 늘면서 학교 체육시설 대관이나 공공체육시설 확충 등 대책도 필요해 보인다.
■‘공정한 기회’ 회원 추첨제 확대 속 불만 목소리도
인천서구시설관리공단은 강습 수요가 많은 수영장 6곳에 대해 오는 5월부터 회원 모집을 2개월마다 전원 추천제로 진행한다. 서구는 인기 프로그램 예약 독점을 막고, 더 많은 주민에게 시설 이용 기회를 주려고 이같이 결정했다. 기존 회원에게 우선 등록권을 주고 신규 회원은 추첨을 통해 모집하던 방식을 개선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 회원들 입장에선 추첨제 방식이 달갑지 않다. 자유형, 배영, 평영, 접영 등을 차례로 배우는 수영 종목 특성상 진도에 맞는 연속성 있는 강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서구국민체육센터에서 만난 정모(63)씨는 “3개월 동안 기다린 끝에 강습받을 기회를 얻었고, 이제 겨우 운동하는 습관을 들여놨다”며 “추첨에서 떨어지면 민간 등 다른 수영장으로 옮겨야 할 것 같다”고 했다.
공공체육시설 이용에 대한 추첨제나 온라인 예약제 도입은 점차 확대되는 분위기다. 인천에선 서구에 앞서 계양구와 부평구 등이 수영 강습 회원 모집에 추첨제를 적용하고 있다. 인천뿐만 아니라 경기, 부산 등에 있는 일부 기초자치단체도 얼마 전부터 수영 강습 회원 모집에 추첨제를 잇따라 도입하고 있다. 인천 남동구는 축구장과 야구장에만 적용되던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지난해 8월 테니스장 전체와 배드민턴장 등까지 확대해 주목을 받기도 했다. (2024년 6월19일자 6면 보도)
인천서구시설관리공단 관계자는 “수영장을 이용하려는 구민들에 비해 시설이나 공간이 적은 게 사실”이라며 “기존 회원들의 의견도 수렴해 개선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생활체육 수요 고려한 학교 체육시설 개방 등 모색해야
생활체육을 즐기는 주민들이 늘면서 공공체육시설 확충 등 중·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타 시·도에서는 학교 내 강당이나 수영장 등 체육시설을 주민들에게 개방하는 방안이 추진 중이다. 집 근처에서 이용할 만한 공공체육시설이 부족하고 시설을 새로 짓기에는 많은 예산이 들기 때문이다. 서울 용산구는 최근 체육시설 확보를 위해 서울이태원초와 업무협약을 맺고 교육문화관 수영장과 부대시설 운영권을 확보했다. 용산구는 시설 개선 등을 지원한 뒤 체육시설을 주민들이 이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학교 수영장을 민간에 개방하기 위해 지난해 8월부터 관련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인천연구원은 지난 2021년 발간한 ‘근거리 생활체육시설의 합리적 배치방향 연구’에서 “초등학교 등 학교 체육시설 활용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제언한 바 있다.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는 “지자체가 이미 큰 부지가 있는 대학과 업무협약을 맺어 시설 건립·보수를 지원하는 대신 주민에게 시설을 개방하는 것이 단기적으로는 가장 좋은 방안”이라고 했다. 이어 “도시개발 과정에서 공공체육시설 건립 계획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특히 도심지역에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크다”며 “장기적으로는 지자체와 정부가 선심성으로 지원하는 체육행사 예산을 일부 줄이고, 공공체육시설 건립·보수 예산을 더 투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변민철기자 bmc050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