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道 등록업자중 40% 폐업
배달시장 확대·장소 규제 주요인

“월요일은 시흥, 화요일은 오산, 수요일은 용인, 목요일은 화성…”
화성 동탄신도시의 한 아파트 단지 앞에서 최근 만난 배상현(가명·39)씨. 분식 메뉴로 푸드트럭을 운영하는 배씨는 시군을 넘나들며 아파트 단지 속 ‘잠재적 손님’을 직접 찾아 개점한다.
푸드트럭 특성상 옮겨 다니며 장사를 할 수 있다는 건 큰 장점이지만, 오히려 그는 ‘유목’ 생활을 끝내고 싶다고 토로했다.
영업을 법적으로 허가받은 관광지, 유원지 등은 매서운 추위에 경기침체까지 겹쳐 손님이 없고, 상업단지로 자리를 옮기면 인근 상인들에게 무허가라며 신고당하기 일쑤. 푸드트럭 창업에 투입한 투자금 회수와 생계 등을 이어가기 위해 마지막 찾은 영업소가 아파트 단지라는 설명이다.
푸드트럭이 합법화된 후 10년간 경기도 내에서만 40% 가까이가 폐업했을 정도로 환경이 열악해지고 있어 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경기도가 공개한 휴게음식점(푸드트럭) 현황을 보면, 2015년부터 올해 이달까지 도내 등록된 푸드트럭 1천617개 중 37.6%인 608개가 폐업했다. 오랫동안 개선되지 않은 푸드트럭의 영업 허용 장소 규제가 창업자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푸드트럭은 현행법상 체육시설과 관광지, 졸음쉼터 등 각 지자체에서 허가받거나 정한 일정 장소에서만 영업할 수 있다. 지역축제나 주말 등 사람이 몰리는 특정시기나 날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장소들에 한정된 셈이다.
과천 경마공원, 일산 킨텍스, 동탄 센트럴파크 등이 현재 도내 창업자들이 인허가받은 대표적 장소다. 특히 배달시장이 확대되면서 기존 상권과의 경쟁에서 밀리는 점도 주거단지 앞까지 푸드트럭이 밀려나게 된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이곳에 수요일마다 찾아와 통닭 트럭을 운영하는 김모(50대)씨는 “요즘은 아파트단지 장사도 잘 안된다. 오는 손님마다 여기 지금 장사한다고 주민들한테 소문내달라고 요청하는데, 한편으론 혹시나 신고가 들어올까봐 노심초사한 것도 있다. 요일이나 날짜마다 여러 단지를 떠돌이처럼 돌면서 운영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고 말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