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박대출(경남 진주시갑) 의원이 정계선 헌법재판관과 국회 탄핵소추단 측 대리인 김이수 변호사와의 관계에 대한 사실 확인과 해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박 의원은 19일 페이스북에서 “정계선 헌법재판관이 대법원 공직자윤리위원회 기준으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재판에서 회피 사유에 해당되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이같이 요구했다.
대법 공직자윤리위 기준 ‘회피사유’
“남편이 탄핵소추단 변호사와 관계,
본인은 연수원 시절 사제지간 의혹”
다른의원들도 헌재 불공정 문제제기
박 의원은 “대법원 공직자윤리위원회 권고 의견에 따르면 법관의 배우자나 2촌 이내 친족이 법무법인 등에 변호사로 근무하는 경우 법관은 해당 법무법인 등이 수임한 사건을 처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명시돼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 재판관 남편이 국회 탄핵소추단 김이수 변호사가 이사장으로 있는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에서 근무하는 만큼, 정 재판관이 탄핵재판에서 빠지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앞서 윤상현, 나경원, 김기현 의원을 비롯한 국민의힘 의원 36명은 지난 17일 헌법재판소를 찾아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과정의 편향성과 불공정에 대해 항의했다.
박 의원은 “정 재판관에 대해서는 사법연수원 시절 지도교수를 맡은 김 공동대표와 사제지간이라는 의혹이 있다. 정 재판관은 결단하라”고 사퇴를 촉구했다.

/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