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기 과의존·교육 수준 격차 등 우려

시범 운영 통해 학습효과·부작용 검토 요구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소속 안광률(민·시흥1) 의원이 20일 열린 제382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2025.2.20 /경기도의회 제공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소속 안광률(민·시흥1) 의원이 20일 열린 제382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2025.2.20 /경기도의회 제공

AI(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둘러싼 경기도민의 찬반 여론이 팽팽(1월 23일자 2면 보도)한 가운데, 교육 현장 혼란을 막는 방안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경기도의회에서 나왔다.

[경인 Pick] AI교과서 도입 찬성 51% vs 반대 49%… 도민 여론도 ‘초박빙’

[경인 Pick] AI교과서 도입 찬성 51% vs 반대 49%… 도민 여론도 ‘초박빙’

나타났다. 특히 도민의 절반 이상은 AI교과서에 대한 정보 전달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한 상황이어서, 현장의 혼란도 우려된다. 경기도의회가 최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관련 도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AI교과서 도입에 대한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7282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소속 안광률(민·시흥1) 의원은 20일 열린 제382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교육부는 학생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고 교수학습의 효과성 제고 등을 위해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며 “우려되는 몇 가지 문제데 대해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따른 디지털 기기 과의존, 개인정보 보호 문제, 교육 수준 격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며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과도한 디지털 기기 사용은 집중력 저하, 기기 의존도 증가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며 “스웨덴과 핀란드,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교육의 부작용을 경험하고서 다시 종이 교과서로 돌아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안 의원은 “AI 디지털 교과서는 학생의 학습 이력과 평가 결과 등 자료를 수집·분석해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우려되기 때문에 강력한 보안 대책이 선행돼야 한다”며 “학교별 디지털 인프라 수준과 교사 역량에 따라 교육 격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AI 디지털 교과서를 신청한 학교에서 먼저 시범 운영하고 그 결과를 분석해 학습 효과와 부작용을 검토해야 한다”며 “현재 8시간짜리 연수로는 AI 디지털 교과서를 제대로 활용하는데 부족하다는 의견이 있다. 충분한 연수 프로그램을 교사들에게 제공하고, 학생들의 학습과 평가 이력 등의 데이터가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강력한 보안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AI 디지털 교과서의 법적 지위를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규정한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교과서는 모든 학교가 의무 도입해야 하지만 교육자료는 도입 여부에 대해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정부는 해당 법안에 대해 재의 요구를 한 상황이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