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 독자위 1월 모니터링 요지
박물관 개관 관광활성화 현장중심기사 호평
트럼프 취임 미칠 영향 후속 분석 기대 의견
섬 가치 발굴 이전사업 평가 선행필요 지적

경인일보 인천본사 ‘1월 독자위원회’가 지난 11일 인천본사 회의실에서 진행됐다. 구본형((주)쿠스코프 대표) 독자위원장, 고헌영(안국노무법인 대표)·박주희(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독자위원이 참석했다. 윤용신(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지엠지부 수석부지부장) 독자위원은 서면으로 의견을 보내왔다. 목동훈 인천 편집국장이 참석해 의견을 들었다.
독자위원들은 1월 경인일보가 지역에서 관심 가져야 할 현안을 시의적절하게 다뤘다고 봤다.
구본형 위원장은 <서해 끝 백령도 뱃삯이 1,500원… 인천 시민들, 버스 타듯 배 탄다>(3일자 1면 보도) 기사에 대해 “이전까지 인천 섬은 인천시민들에게도 ‘가까이 있지만 큰맘 먹고 가야 하는 곳’이라는 인식이 있었는데, 이번에 도입된 인천 i-바다패스 정책을 계기로 우리가 섬을 더 가까이 느끼고 섬 경제도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인천시민뿐 아니라 수도권 관광객들도 섬에 많이 유입되도록 크게 홍보할 필요가 있겠다”고 말했다.
박주희 위원은 <[현장르포] 국립인천해양박물관, 노후 상권 활성화 ‘마중물’ 톡톡>(21일자 1면 보도) 기사를 읽고 “박물관 개관 이후 월미도 일대 등 중구 구도심 관광이 활성화했다는 현장 중심 기사라 좋았다. 아직 박물관에 직접 가보지 못했지만, 조만간 방문해 보려고 한다”며 “개관 효과가 이어지려면 뒷받침돼야 할 지역사회의 역할도 분명히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인천시와 함께 박물관 콘텐츠 보완 등 지역사회가 고민해야 할 부분도 다뤄주길 바란다”고 했다.
윤용신 위원은 <산분장, 자연장 인정 ‘합법화’… 인천 바다 ‘해양장’ 늘어날듯>(31일자 1면 보도), <[경인 Pick] “바다성묘 많아지면, 언제든 찾아뵐 수 있겠죠” 해양장 합법화후 첫 연휴 발길>(31일자 2면 보도) 등의 기사를 두고 “그동안 해양 장례가 관습적으로 치러져 왔는데,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었다는 부분은 잘 몰랐다”며 “이 기사를 계기로 해양장을 비롯한 산분장 합법화, 산분 가능한 기준, 반응 등을 알려줘 의미 있었다”고 평했다.
고헌영 위원은 <[집중진단] ‘시대적 과제’ 떠오른 개헌론, 여야 입장차 숙제>(13일자 1면 보도) 기사를 보고 “최근 경인일보에서 개헌 얘기를 다룬 기사가 계속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 대통령제가 정말 제왕적인지, 개헌이 필요한 시기인지를 나름대로 생각하게 만드는 기사들이었다”며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정치권의 극단적 대립 원인을 깊게 살피기보다는 제도만이 문제라고만 보는 시각에는 의문이 든다. 더 분석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경인일보의 지속적 관심과 후속 보도를 바라는 기사들도 있었다. 먼저 <트럼프 2기 맞이하는 인천기업, 경영환경 악화 전망>(21일자 3면 보도) 기사에 대해 고 위원은 “보고서 통계도 좋지만 트럼프 대통령 취임이 인천에 미치는 영향을 더 분석한 기사가 있었으면 좋겠다. 언론사 내부 분석이 어렵다면 전문가의 입을 빌리는 방법도 좋을 듯하다”고 했다. 박 위원 역시 “산업마다 특성은 다르지만, 수출 비중이 큰 인천 기업 등이 각종 변수에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시점에서 인천시가 어떤 노력을 해야할지도 얘기가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의견을 냈다.
박 위원은 <덕적·자월도 일대 숨은 매력 발굴… 관광·경제 활성화 ‘두 토끼’ 구상>(14일자 3면 보도) 기사를 두고 “섬은 인천이 지닌 특색 있는 자원인데, 매번 비슷한 용역과 사업이 반복되는 느낌이 있다. 섬 가치를 발굴해 관광을 활성화하려면 이전 사업 평가가 선행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그동안 어떤 사업이 추진됐고 왜 잘 안됐는지, 사업이 더 효과적이려면 어떤 점이 개선돼야 할지 등 기본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는 부분도 함께 짚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구 위원장은 <내란에 쫓기듯 왔는데 쫓겨날 판… 미얀마인 “도와줘요, 한국”>(9일자 6면 보도) 기사와 <‘강제 송환 위기’ 미얀마인 도움 요청에… 법무부 응답했다>(17일자 4면 보도) 기사를 읽고 “경인일보가 지역 문제를 먼저 다루고, 경인일보 보도에 법무부가 공식 입장을 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느낀다”며 “경인일보가 발굴한 현안인 만큼, 군부 독재를 피해 인천 등 한국에 머무는 미얀마인들에 대한 후속 보도가 이어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