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사고땐 ‘골든타임 확보’ 중요

감염병 유입 경로 ‘차단 역할’ 제기

인천 중구의회 의원들이 지난 20일 본회의에서 영종도 특수목적 공공병원 설립 촉구 성명을 발표했다. /중구의회 제공
인천 중구의회 의원들이 지난 20일 본회의에서 영종도 특수목적 공공병원 설립 촉구 성명을 발표했다. /중구의회 제공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한 영종도에 항공재난과 감염병 대응을 위한 특수목적 공공병원(1월2일자 10면 보도)을 설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중구의회에서 나왔다.

인천공항 사고 대비해야… 영종도 인근 “종합병원 시급” 목소리

인천공항 사고 대비해야… 영종도 인근 “종합병원 시급” 목소리

건너가려면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인천시는 지난 2021년부터 영종도 내 국립대병원 분원 설치를 위해 서울대병원과 논의해 왔지만 현재까지 답보 상태다. 더군다나 정부가 최근 추진 중인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에 따라 인천을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4746

김광호(민·나선거구), 강후공(국·나선거구), 정동준(민·가선거구) 윤효화(민·가선거구) 중구의원은 20일 제323회 중구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인천공항 인근 항공재난·감염병 대응 특수목적 공공병원 설립 촉구’ 성명을 발표했다.

특수목적 공공병원은 보건복지부가 수립하는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에 따라 ‘군’ ‘산재’ ‘보훈’ ‘원자력’ ‘법무’ ‘경찰’ ‘교통재활’ 분야가 있다. 현재 영종도 주민들은 ‘항공’이라는 신규 분야에 대한 국립항공의료센터의 건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천공항은 하루 평균 1천편 이상의 항공기가 운항되며 20만명 이상 승객이 이용 중이다. 영종국제도시 인구 또한 12만6천명을 넘어섰지만, 영종도에는 응급실을 갖춘 종합병원이 없다. 대형 항공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워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구의원들은 “인천공항에서 무안공항 항고기 참사와 같은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항공재난에 특화된 의료 시설의 확충이 시급하다”며 “인천공항은 국제 감염병 유입의 주요 경로다. 특수목적 공공병원이 설립된다면 감염병 확산 차단과 항공 재난 대응 등 핵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했다.

이들은 영종도 특수목적 공공병원 설립을 위해 정부와 국회, 인천공항공사의 적극적 행동을 촉구했다. 중구의원들은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병원 설립을 위한 예산을 조속히 확보해야 한다”며 “인천공항공사는 공공병원을 설립·운영해 공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