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테크 정의와 분류 최초 법제화
기후테크 산업 체계적 육성 정책 기반

전국 최초로 기후테크 정의와 사업 육성 지원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담은 조례가 경기도에서 제정됐다.
21일 경기도에 따르면 ‘기후테크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가 전날 경기도의회를 통과했다.
도는 조례가 공포되는 3월부터 기후테크센터 설치, 기후테크 투자를 위한 금융 지원 등 구체적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백현종(국·구리1) 위원장이 발의한 이번 조례는 기후테크 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기후테크센터를 설치·운영해 연구개발과 실증 테스트를 활성화 하는 기후테크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례가 통과됨에 따라 도는 기후테크 산업의 성장을 위한 금융·재정지원을 강화한다.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위해 투자조합(펀드)을 결성하고, 투자유치를 연계할 방침이다.
도는 기후테크 산업 전문인력 양성도 추진한다. 기후테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훈련 시스템을 강화하고 인재를 발굴해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인재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차성수 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경기도는 이번 조례 제정을 통해 기후테크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선도적인 역할을 강화할 것”이라며 “기후테크 육성을 통해 기후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혁신적인 도전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