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행보 가속 “개헌론” 이재명 압박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1일 ‘2025년 한국지방자치학회 동계학술대회’ 특강에서 “대통령실과 국회는 세종시로, 대법원과 대검찰청은 충청권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5.2.21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1일 ‘2025년 한국지방자치학회 동계학술대회’ 특강에서 “대통령실과 국회는 세종시로, 대법원과 대검찰청은 충청권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5.2.21 /경기도 제공

대권 행보에 나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호남 민심 공략에 이어, 충청권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을 위해 “대통령실과 국회는 세종시로, 대법원과 대검찰청은 충청권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개헌을 주장하면서다.

특히 오는 2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회동을 앞두고 개헌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는 이 대표를 압박하는 모습으로도 해석된다.

김 지사는 지난 21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년 한국지방자치학회 동계학술대회’ 특강에서 “우리가 지난번(노무현 대통령 재임 당시)에 하지 못했던 대통령실·국회·대법원·대검의 세종과 충청 이전을 제안한다”며 “아마도 대통령실과 국회는 세종시로 이전이 이미 준비돼 있기 때문에 빠른 시간에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밖에 대법원, 대검찰청은 충청권으로. 논의해봐야 되겠지만 이런 내용에 대해서도 추진을 강력하게 했으면 한다”고 언급했다.

충청권으로의 주요 기관 이전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핵심사업이었다. 다만 2004년 헌법재판소가 기관 이전을 위한 ‘신행정수도의건설을위한특별조치법’을 위헌으로 판결해 불발됐다. 이후 충청권의 핵심 숙원으로서 매 대선마다 화두가 됐다. 김 지사는 앞서 지난 19일에도 자신의 SNS를 통해 “불법으로 쌓아 올린 ‘용산 대통령실’은 태생부터 잘못됐다. 그대로 둬서는 안된다”며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의 대통령실 세종시 이전론에 동조한 바 있다.

개헌엔 선을 긋는 이 대표와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행보로도 보인다.

김 지사는 ‘계엄대못 개헌, 경제 개헌, 권력구조 개편 개헌’ 등을 골자로 한 개헌론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김 지사는 같은 날 SNS를 통해 “개헌은 ‘블랙홀’이 아니라 새로운 나라를 여는 ‘관문’”이라며 “이재명 대표님, 지금이 바로 개헌을 이야기할 때다. 3년 전 두 손 잡고 국민 앞에서 약속드린 바 있다. 제7공화국 개헌, 이번엔 반드시 이뤄내자”고 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