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 시일내 사전 논의할 계획
7차때 협상 불발… 다툼 소지 없애
결정되면 운항결손금 시·군 부담

서해 최북단 백령도와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을 오갈 대형여객선(차도선) 도입 사업이 열 번째 도전 만에 새로운 물꼬를 틀지 주목된다.
인천 옹진군은 ‘인천~백령항로 대형여객선 도입 지원사업’ 제안서 평가 결과, 고려고속훼리(주)를 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옹진군이 지난 17일 마감한 백령항로 대형여객선 10차 공모에는 고려고속훼리, 인천제주해운(주), 케이에스해운(주) 등 3개사가 제안서를 냈다. 이 중 케이에스해운이 사업 포기 의사를 밝혀 옹진군은 지난 21일 나머지 2개사를 놓고 사업계획을 평가했다.
평가위원 7명의 종합점수(60점 만점)는 고려고속훼리 52.6점, 인천제주해운 49점이다.
옹진군은 고려고속훼리에 협상대상자 선정 통보를 한 상태로, 조만간 업무협약 체결을 위한 사전 논의를 시작할 계획이다.
고려고속훼리는 2023년 7월 7차 공모에서도 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나, 협상과정에서 선박 출항 시각을 놓고 옹진군과 이견이 있어 사업을 포기했다. 이번 공모는 여객선 운항 시각을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오전 7시50분 출항으로 명시한 터라 이전과 같은 다툼의 소지는 없을 전망이다. 지난 7차 공모 때는 공고문에 대형여객선의 출항 시각이 명시돼 있지 않아, 현재 운항 중인 쾌속선들과의 출항 시각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있었다.
고려고속훼리는 약 2천t급 차도선을 신조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해양수산부 ‘연안선박 현대화 펀드’를 활용할 계획이며, 건조 비용은 800억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선박 건조 후 도입까지는 약 2~3년이 걸린다.
고려고속훼리가 최종 사업자로 결정되면 20년간 백령항로 운항에 따라 발생하는 운항결손금을 지원받게 된다. 운항결손금은 국비 지원 없이 인천시와 옹진군이 절반씩 분담할 예정이다. 지난 9차 공모 당시 인천시가 추정한 운항결손 지원 보조금은 매년 약 30억원으로, 20년간 최대 600억원 규모였다.
옹진군 관계자는 “고려고속훼리와 최종 협약을 맺고 선박 도입이 확정되면 기존에 추진하고 있던 옹진군 여객선 자체 건조 계획은 중단할 계획”이라며 “민간 선사 운항결손금에 대한 국비 지원이 제2차 서해 5도 종합발전계획에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