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불안·혼돈 등 사과 방안 고심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해 있다. 2025.2.20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해 있다. 2025.2.20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마지막 변론기일을 하루 앞둔 가운데 윤 대통령이 ‘정국 안정’과 ‘국가 미래’를 위한 임기 단축 개헌안 등을 배제하지 않는 최종 의견 진술서를 직접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인 윤 대통령은 25일 헌법재판소에 직접 출석해 최종 의견을 진술하겠다는 뜻을 법률대리인단에 밝혔다. 윤 대통령이 주말에 이어 24일도 변호인단의 접견을 받아 원고를 직접 가다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우선 종합 변론을 통해 ‘12·3 비상계엄의 정당성과 불가피성’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여권의 고위관계자는 “임기 단축 개헌안에 대한 안을 검토했으나 윤 대통령은 수용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지만, 검토하는 것은 부인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대국민 메시지에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대국민 통합 카드는 나오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임기 단축론’은 윤 대통령이 이번 비상계엄을 계기로 ‘임기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발언한 것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윤 대통령은 무엇보다 이번 비상계엄에 대해 비상계엄 선포는 대통령의 헌법상 권한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국회의 탄핵 소추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면서 야당의 ‘입법독재’ ‘줄탄핵’으로 국가를 운영할 수 없었다는 점을 집중 부각할 예정이다.

다만, 윤 대통령은 이번 비상계엄을 계기로 국민의 불안과 혼돈을 빚은 점에 대해 사과하고 국민 분열을 해소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