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UHD 정책 개편 방안마련’ 토론회가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가운데 이훈기(뒷줄 오른쪽 네번째) 의원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훈기 의원실 제공
‘바람직한 UHD 정책 개편 방안마련’ 토론회가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가운데 이훈기(뒷줄 오른쪽 네번째) 의원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훈기 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이훈기(인천 남동을) 의원이 주관한 ‘바람직한 UHD(Ultra High Definition) 정책 개편방안 마련’ 토론회가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됐다.

최용진 전북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사회로 열린 이날 토론회는 지상파 미디어 현장의 목소리와 연구계, 언론계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FHD 4배 선명한 화질, 2017년 도입

政, 2027년까지 UHD방송 확대 약속

보급 미진…제대로 된 통계조차 없어

이훈기 “미디어산업 변화 맞춰 개편”

UHD는 FHD(1080p, Full HD)보다 4배 선명한 방송으로 2017년 공식 도입됐지만 보급이 미진하다. 당초 정부는 2027년까지 UHD 방송 편성 비율을 100%로 확대하겠다고 공언했으나, 시청률·보급률 등 제대로 된 통계도 갖추지 못했다.

진입장벽으로 인한 시청자 외면이 가장 큰 요인이다. UHD 방송을 보기 위해선 UHD를 지원하는 TV가 필요하고, 미국식 UHD 표준이 아닌 유럽식 UHD 표준을 도입한 TV를 구매할 경우 별도 안테나와 컨버터를 구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토론회는 계획 차질이 일상이 된 UHD사업의 정책적 방안을 찾고자 마련된 자리다.

이날 심영섭 경희사이버대 미디어영상홍보학과 교수는 ‘UHD 방송정책 현황과 한계’를, 김경환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는 ‘UHD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주제로 각각 발표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제도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훈기 의원은 “지상파 UHD 정책은 정부와 방송사가 국민의 더 좋은 시청환경 제공을 위해 시작됐지만, 국민편익 실효성 문제가 지속되고 그와 동시에 지상파 방송사에 대한 규제로 작용 중”이라며 “지금의 미디어산업 변화에 필요한 정책개편이 준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이어 “토론회 이후에도 UHD 정책이 새로운 전환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