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철도공단 사업방식 갈팡질팡
철거 등 사업자 공모 앞두고 중단

동인천 민자역사 일대에 추진되던 철거 및 복합개발사업이 원점 재검토 기로에 놓였다. 동인천 민자역사 철거 및 복합개발사업이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사업과 맞물리면서 갈 길을 잃은 모양새다.
24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국가철도공단이 주도하는 동인천 민자역사 철거 및 복합개발사업은 민간 사업자 선정 공모를 앞두고 중단됐다. 국가철도공단은 지난해 10월 말 ‘동인천 민자역사 철거 및 복합개발사업’ 민간 제안 공모를 통해 우수 제안서를 채택했고, 해당 제안서를 바탕으로 지난해 말 민간 사업자 공모를 진행할 계획이었다.
지난해 유치권을 둘러싼 소송에서 국가철도공단이 최종 승소하며 건물 철거와 일대 개발에 속도가 붙었지만,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사업과 맞물리며 제동이 걸렸다.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사업은 공공이 상부 부지(국·공유지)를 개발해 나온 수익으로 지하화 공사비(사업비)를 충당하는 구조다. 동인천 민자역사 일대 부지는 국가철도공단 소유로, 철도 지하화 사업 상부 부지 개발 대상지로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국가철도공단이 동인천 민자역사 일대 개발 방식을 어떻게 진행할지 내부 교통정리를 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국가철도공단은 동인천 민자역사 건물 철거와 그 일대 복합개발사업을 개별 사업으로 추진할지,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사업에 포함시켜야 할지 등을 두고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이대로라면 동인천 민자역사 철거 및 복합개발사업은 백지화될 가능성도 있다.
국가철도공단은 사업시행자 선정, 협약 체결, 인·허가 등 절차를 거쳐 이르면 2028년께 건물 철거에 돌입한다는 방침이었다. 동인천 민자역사 철거 및 복합개발사업이 민간사업이 아닌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사업 방식으로 진행된다면 민자역사 건물의 철거 시점은 최소 2030년 이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철도공단 관계자는 “현재 동인천 민자역사 철거 및 복합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게 맞느냐 아니냐를 판가름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국토교통부에 지금까지의 진행 상황을 얘기하고 동인천 민자역사 사업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문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