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비라 부를 때 많아”… 인식개선 요구에 조례개정 가능성

“청원경찰 말고 ‘공공안전관’이라 불러주세요.”
경기도청의 질서와 안전을 책임지는 청원경찰들이 명칭 변경을 요구하고 나섰다. 업무와 역할에 비해 낮은 청원경찰의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24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 소속 청원경찰들은 지난해 도 총무과에 조례상 청원경찰의 명칭을 ‘공공안전관’으로 변경해줄 것을 요청했다.
도는 ‘경기도 청원경찰 복무 조례’를 제정해 청원경찰의 정원과 인사·복무 등을 관리하고 있다. 해당 조례상 청원경찰은 청사 방호와 민원인 안내·경비·안전 및 시설물 이상 상태 점검 등의 업무를 맡는다.
지자체 소속 청원경찰은 경찰이 아닌 경기도 소속 근로자다. 현재 총 104명이 경기도청과 경기도수자원공사 등 도 직속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다.
이들은 공무원도 공무직 근로자도 아닌 모호한 신분으로 경우에 따라 청원경찰법·공무원법·근로기준법을 적용받는다.
최근 악성 민원인에 대한 공직사회 피해 사례가 증가하면서 청원경찰의 역할이 대두되고 있지만, 이에 비해 대외적인 인식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경기도청 소속 청원경찰 A씨는 “민원인들은 청원경찰을 모르는 경우가 많아서 ‘경비’라고 부를 때가 많다”며 “젊은 청원경찰들은 이러한 낮은 인식에 대해 불만을 제기한다”고 토로했다.
이에 최근 수도권 지자체 청원경찰을 중심으로 인식 개선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인식 개선의 일환으로 명칭을 이들의 역할을 더 명확히 반영하는 ‘공공안전관’으로 변경하는 추세다.
서울시는 지난 2015년 시청 소속 청원경찰의 명칭을 ‘공공안전관’으로 변경했고, 인천시 청원경찰 노조 역시 경기도와 마찬가지로 지난해 9월부터 시에 명칭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경기도청 소속 청원경찰들은 명칭 변경에 이어 현재 출입증에 명시된 용어도 ‘신분증’에서 ‘공공안전관’으로 변경해 주길 원하고 있다.
A씨는 “공무원은 공무원증, 공무직 근로자는 공무직증인데 청원경찰은 ‘신분증’이라고만 돼 있다”며 “명칭이 변경되고 출입증에 공공안전관으로 명시되면 시민 인식도 달라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청원경찰의 명칭을 변경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와 조례 개정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도는 올해부터 청원경찰의 특수업무수당을 지급하는 등 청원경찰의 처우와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