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연설 내용 지면 1면
실리지 않으면 홍보비 제한”
비판 이어지자 언론 책임 돌리며 회피
정치권·시민단체 규탄에 기자회견 개최
“과격한점 인정… 논쟁 벌어져 깊은 유감”

‘언론 통제’ 논란으로 물의를 일으키고도 오히려 책임을 언론에게 돌려 비판받은 양우식(국·비례)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2월 27일자 3면 보도)이 끝내 사과 없이 유감만 재차 표명했다.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도 양 위원장의 ‘그릇된 언론관’을 규탄하고 있지만, 양 위원장은 여전히 해당 발언엔 직접 사과를 하지 않고 있어 논란은 사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양 위원장은 4일 오후 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제 발언이 뜨거운 감자가 돼 많은 언론에 보도됐다”며 “제 발언으로 논쟁이 벌어진 데 대해 깊은 유감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이어 “발언 취지와 다르게 표현이 다소 과격했다는 점 인정한다. 도민과 언론인 여러분께 유감을 표하며 해량해주실 것을 요청드린다”며 “앞으로는 보다 신중하고 정확한 표현을 사용해 이 같은 논란을 만들지 않는다는 약속도 드린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직·간접적으로 언론인과 활발히 소통할 수 있었다”며 “도의회 운영위원장으로서 생산적인 의회 운영과 효율적인 예산 집행 뿐 아니라 언론인의 애로사항에 귀 기울이겠다”고 했다.
한편 양 위원장은 지난달 19일 도의회 운영위원회의 의회사무처 업무보고 과정에서 “도의회 회기 중에 의장 개회사, 양당 대표 교섭단체 대표연설 내용이 언론사 지면 1면에 실리지 않으면 그 언론사 홍보비를 제한하라”며 “경기도 언론사가 도의회 의장, 대표 연설 내용을 지면에 싣지 않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적극 검토해달라”고 요구해 파장이 일파만파 커졌다.
비판을 받자 지난달 25일 입장문을 통해 유감을 표했지만 “일부 언론에서 전후 관계를 생략하며 본질을 왜곡하고 있다”며 외려 언론에 책임을 돌린 바 있다.
이에 대해 지역 정치권은 물론, 시민단체도 양 위원장을 규탄했다. 지난달 27일 더민주경기혁신회의는 논평을 통해 “국민의힘이 가진 반민주·폭력적 언론관에 분노를 금치 않을 수 없다”며 “(양 위원장은) 즉각 도의회 운영위원장과 도의원직에서 사퇴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같은 날 진보당 경기도당은 “(양 위원장은 물론) 국민의힘 경기도당은 언론 탄압이라는 또 하나의 쿠데타 시도에 대해 도민 앞에 사죄하라”고 강조했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