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병원 분원

기존 계획서 탈피

 

‘공항·감염병’ 특화

건립에 초점 맞춰

 

관련법안 발의 영향도

민간 종합병원도 타진

인천시가 난항을 겪어 온 중구 영종도(영종·용유지역) 종합병원 유치 전략을 수정해 재추진한다. 국립대병원 분원 유치에 초점을 맞췄던 기존 계획에서 벗어나 대형 재난사고·감염병 대응 등 특수성을 살려 민간 종합병원 건립 가능성도 함께 타진한다는 구상이다.

인천시는 최근 ‘2025년 영종도 국립대병원 유치 계획’을 수립했다고 4일 밝혔다. 지난해 서울대병원 분원 설치 협의가 잠정 중단되면서 좌초될 위기에 놓였던 영종도에 종합병원을 세우는 방안을 다시 마련한 것이다.

인천시는 영종도 종합병원의 ‘특수성’을 부각해 계획을 짰다. 애초 계획은 영종지역 인구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중증 응급 환자를 받을 수 있는 응급실을 갖춘 종합병원이 한 곳도 없어 병원 건립이 필요하다는 데 초점을 맞췄지만, 이번 계획에는 공항이 위치한 특수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인천시에 따르면 올해 유치 계획에는 지난해 12월 무안국제공항 여객기 참사를 계기로 공항 인접한 곳에서 발생하는 대형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외상센터와 감염병 대응력을 가진 종합병원의 필요성을 부각했다.

인천시가 종합병원 유치 계획을 수정한 배경에는 관련 법안이 발의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12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허종식(민·인천 동구미추홀구갑) 의원은 ‘인천국제공항공사법 일부개정안’ ‘의료법 일부개정안’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감염병예방법) 일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3개 개정안은 인천국제공항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종합병원을 인천공항공사가 설립 및 관리·운영할 수 있는 근거가 포함됐다.

한 가지 변수는 영종도가 속한 인천 중구가 ‘병상 공급 제한’ 지역으로 묶여 있다는 점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수도권 지방자치단체에 2027년까지 병상을 늘리지 않는 방향으로 병상 수급 계획을 보완하라는 공문을 보낸 바 있다.

인천시는 영종도 종합병원 설립의 근거가 될 3법이 국회 문턱을 넘으면 병상 공급 제한 규제 예외에 속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공항에서 발생하는 재난·감염병 대응에 특화한 병원이라 병상 공급 제한을 풀어야 한다는 논리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게 이유다.

인천시 관계자는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영종도 종합병원 유치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법안 통과 이전에 인천공항공사를 비롯한 관계 기관들과 간담회, 토론회 등 논의를 이어가며 준비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