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 조정 정부 요청’ 진전 없어
후발주자인데 이달중 착공계 전망
컨소시엄 지분 변경도 무난할 예정

건설 경기 침체 장기화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와 C노선 개설이 주춤한 와중에(2월28일자 1면 보도), 후발 주자인 B노선이 C노선보다도 먼저 실착공에 들어갈 가능성이 제기된다. 민간 건설사업자 컨소시엄 지분 변동이 비교적 순탄하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돼서인데, 이 경우 이르면 이달 중 실착공을 위한 착공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GTX 개설은 A~C 3개 노선으로 출발했다. 이 중 인천 송도에서 남양주 마석까지 이어지는 B노선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시점이 2019년 8월로 가장 늦었다. 당초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가 남양주 왕숙지구 일대에 3기 신도시 조성이 결정되면서 급물살을 탄 게 요인이 됐다. C노선은 2018년 12월에 예타를 통과해, B노선보다도 8개월 빨랐다. 착공식도 C노선은 지난해 1월 25일, B노선은 같은 해 3월 7일 진행되면서 C노선이 조금 더 빨리 실시됐다. 그러나 그 이후 건설 경기가 더욱 얼어붙고 자금 경색 국면이 지속되면서 두 노선 모두 1년 넘게 실제 첫 삽은 뜨지 못했다.
두 노선 모두 정체돼 있지만 상황은 C노선 쪽이 조금 더 좋지 않다는 게 건설업계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C노선의 경우 총 공사비 조정을 정부에 요청하고 있지만 큰 진전은 없는 상태다. 지지부진한 상황이 길어지면서 건설투자사들의 지속 참여 동력을 떨어뜨리는데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가운데 B노선도 건설사업자 컨소시엄 지분 구성이 바뀔 예정이다. 지분 4.5%를 보유하고 있던 DL이앤씨가 참여 포기 의사를 밝히고, 지분이 기존 20%였던 현대건설도 GTX-C 정체 상황 등을 고려해 7%만 남기기로 한 것이다. 총 17.5%의 지분을 다른 건설사들에 넘겨야 하는 상황인데, 현재까지는 지분 인수 논의가 비교적 무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체 시공사를 확정한 후 지분 조정 작업이 완료되는대로 착공계를 제출하겠다는 게 B노선 컨소시엄 주간사인 대우건설 측 계획이다. 착공계 제출은 실착공에 돌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에서도 B노선이 최대한 1분기에 실착공할 수 있도록 힘을 싣는다는 방침이다.
B노선이 계획한대로 이달 중 실착공할 경우, 예타 등을 먼저 마친 C노선보다도 더 빠르게 실제 건설에 착수하게 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B노선의 경우 지분 변동이 예상되지만 다른 시공사를 선정하는데 큰 무리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C노선보다도 더 빨리 실제 착공에 들어설 수도 있을 것 같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라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도 “C노선의 경우 여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협의를 거듭하고 있지만 B노선의 경우 이르면 이달 중 착공계를 낼 수도 있을 것 같다. 지분 변동이 예상되지만 다른 회사들이 인수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보여서, 중대한 변수라고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