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내 사과 없이 유감만 재차 표명한 양우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3월5일자 3면 보도)에 인천경기기자협회·경기도의회 출입기자단이 “진심으로 사과한다면 위원장직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협회와 도의회 기자단은 5일 양 위원장 기자회견에 대한 공동 성명을 통해 “논쟁이 벌어진 데 대한 유감 표명이 아닌, 진정성 있는 사과가 있어야 했다”며 “양 의원이 공언했던 ‘사과 기자회견’이 무색하게, 기자회견에 참석했던 어떤 언론인도 양 의원의 발언을 사과로 받아들이지 못했다. 그저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행동으로밖에 해석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진심으로 사과한다면 운영위원장직에서 사퇴하라”고 강조했다.

협회·도의회 기자단은 국민의힘 경기도당과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에도 유감을 표하며 “제 식구 감싸기에만 몰두한다면 양 의원에 동조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도의회 국민의힘 총괄수석부대표직을 비롯한 모든 당무에서 양 위원장을 배제하고 징계 요구에 책임 있게 응해야 한다는 게 협회·도의회 기자단 입장이다.

한편 양 위원장은 지난달 19일 의회사무처 업무보고 과정에서 “의장 개회사, 교섭단체 대표 연설 내용이 언론사 지면 1면에 실리지 않으면 그 언론사 홍보비를 제한하라”고 요구해 편집권 침해 논란이 일었다. 파장이 커지자 지난 4일 기자회견을 열어 “제 발언으로 논쟁이 벌어진 데 대해 깊은 유감의 마음을 전한다”며 “취지와 다르게 표현이 다소 과격했다는 점 인정한다. 앞으로는 보다 신중하고 정확한 표현을 사용해 이 같은 논란을 만들지 않는다는 약속을 드린다”고 했다.

다음은 성명 전문

[성명] ‘유감 기자회견’에 유감을 표한다

끝내 사과는 없었다.

지난 4일 양우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은 기자회견을 열어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이번 발언으로 논쟁이 벌어진 데 대해 깊은 유감의 마음을 전한다”며 “발언 취지와 다르게 표현이 다소 과격했다는 점 인정한다. 보다 신중하고 정확한 표현을 사용해 이 같은 논란을 만들지 않는다는 약속도 드린다”고 했다.

본질을 빗겨갔다.

지역 언론인들은 단순히 양 의원 발언의 ‘과격함’을 지적한 게 아니다. 편집권 침해, 언론 검열 의도를 규탄한 것이다.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도 한 목소리로 해당 발언을 비판한 것은 양 의원의 시대착오적 발상, 그릇된 언론관을 문제 삼는 취지다.

논쟁이 벌어진 데 대한 유감 표명이 아닌, 진정성 있는 사과가 있어야 했다. 다소 과격한 표현으로 인한 해프닝인것 마냥 축소할 문제가 아니다. 앞으로는 언론사 줄 세우기, 편집권 침해를 보다 정확하고 신중한 표현으로 요구하기라도 하겠다는 건가.

양 의원이 공언했던 ‘사과 기자회견’이 무색하게, 기자회견에 참석했던 어떤 언론인도 양 의원의 발언을 사과로 받아들이지 못했다. 대체 기자회견 발언 어디에서 사과를 느낄 수 있나. 그저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행동이었다고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인천경기기자협회와 경기도의회 출입기자단은 “유감”뿐이었던 그의 기자회견에 깊은 유감의 마음을 전한다. 양 의원의 행태를 묵과하며, 그에 대한 징계 요구 등에 침묵하는 경기도의회와 국민의힘에도 마찬가지로 깊은 유감의 마음을 전한다. 이 정도면 된 것 아니냐며 ‘제 식구 감싸기’에만 몰두한다면 경기도의회와 국민의힘도 양 의원에 동조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

진심으로 사과한다면 양 의원은 운영위원장직에서 사퇴하라. 국민의힘 경기도당과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은 양 의원을 도의회 국민의힘 총괄수석부대표직을 포함한 모든 당무에서 배제하고 징계 요구에 책임 있게 응하라. 요구에 성실히 응하지 않을 경우 더욱 강력한 행동에 나설 것임을 공표한다.

하나, 양우식 의원은 말장난하지 말고 도민 앞에 제대로 사과하고 당장 운영위원장직에서 사퇴하라.

하나, 국민의힘 경기도당과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은 양우식 의원을 총괄 수석부대표직은 물론 모든 당무에서 배제하라.

하나, 국민의힘 경기도당과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은 양우식 의원을 비례대표로 공천한 책임을 지고 징계에 앞장서라.

2025.3.5

인천경기기자협회·경기도의회 출입기자단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