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보훈병원 위기, 만성 적자 구조 원인… ‘대책 수혈’ 시급
전국 5곳 종합병원, 인천만 ‘일반’
의료진 임금 격차… 인력난 허덕여
의사수도 25명, 서울 210명과 대조
곧 승급 도전 “응급실 재운영 노력”
응급실 잠정 폐쇄로 드러난 인천보훈병원 운영 위기는 결국 만성 적자 구조가 원인이다. 지역 공공병원이자 ‘보훈’ 기관으로 역할을 다하려면 적자 개선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다.
5일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전국 보훈병원은 6개다. 가장 최근(2018년) 문을 연 인천보훈병원을 비롯해 중앙보훈병원(서울), 부산보훈병원, 광주보훈병원, 대구보훈병원, 대전보훈병원 등이다. 이 중 인천보훈병원만 ‘병원급’(일반병원)이며, 나머지는 모두 ‘종합병원’이다. → 표 참조

종합병원과 일반병원은 의료수가는 물론, 의료진 임금 수준에서도 차이가 난다. 인천보훈병원은 지난해 말 기준 진료과 16과목을 운영 중인데, 이 중 절반가량이 의사 1인 진료과다. 인천보훈병원에 따르면 임금 수준이 종합병원보다 낮아 수차례 채용 공고를 내도 충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한다.
지난해 말 기준 인천보훈병원 의사는 25명(16과목)이다. 이는 서울(210명·32과목)을 제외하고라도 부산(69명·20과목), 광주(72명·24과목), 대구(61명·22과목), 대전(53명·19과목) 등 다른 보훈병원들과도 큰 차이를 보인다. 종합병원은 2인 이상 진료과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올해 2월까지 운영됐던 인천보훈병원 응급실 역시 담당 의사가 1명으로, 충분한 의료 서비스 제공이 어려웠다.
건국훈장을 받은 국가유공자 아들 이모(66)씨는 “보훈병원은 단순히 훈장이나 지원금에 그치지 않고 국가유공자와 그 가족들이 정부로부터 실질적으로 받을 수 있는 혜택”이라며 “나라를 위해 헌신한 국가유공자에 대한 보답과 예우 차원에서라도 보훈병원이 최선의 의료 서비스를 유지해야 한다. 인천보훈병원 응급실 역시 다시 개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인천보훈병원은 일반병원으로는 공공 의료와 보훈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기에 역부족이라고 판단해 조만간 종합병원 승급에 도전할 예정이다. 종합병원 기준에는 ‘응급실 운영’도 포함돼 이때쯤 응급실 운영도 재개할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필수 진료과(산부인과 등) 운영, 인력 충원과 같은 요건도 충족해야 하는 만큼 수월한 과정은 아니다.
인천보훈병원 관계자는 “처음부터 종합병원으로 출발했으면 좋았겠지만, 이제라도 종합병원의 기능을 갖추고자 한다. 이 시설 규모로는 적자 개선이나 양질의 의료 서비스 제공이 힘들다”며 “일단 증축을 통해 운영 수지 개선 기반을 마련하고, 종합병원 승급 절차에 맞춰 응급실도 다시 운영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