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억원 불어나 KBO 역대 최고 연봉

외국인 선수중 최고는 로하스 ‘26억’

인천 SSG 랜더스의 김광현이 2025시즌 프로야구 최고 연봉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KBO가 5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김광현은 올해 연봉 30억원으로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선수가 됐다. 지난해 연봉 10억원에서 20억원이 뛴 김광현은 기존 19년 차 최고 연봉이었던 2019년 이대호(전 롯데 자이언츠)와 지난해 류현진(한화 이글스)의 25억원도 경신했다. 올 시즌 연봉 2위는 20억원을 받는 구자욱(삼성 라이온즈)과 고영표(kt wiz), 류현진으로 나타났다.

김도영(KIA 타이거즈)은 이번 시즌 연봉 인상률 1위에 올랐다. 지난해 리그 최우수선수(MVP)인 김도영은 연봉이 1억원에서 5억원으로 올라 무려 400% 인상률을 기록했다. 이로써 김도영은 2020년 이정후(전 키움 히어로즈)가 작성한 4년 차 최고 연봉 3억9천만원을 뛰어넘었다. 김도영의 400% 인상률은 역대 KBO리그 공동 11위이며, FA와 비FA 다년 계약 사례를 제외하면 2020년 하재훈(SSG)의 455.6%(2천700만원→1억5천만원), 2021년 소형준(kt)의 418.5%(2천700만원→1억4천만원)에 이은 세 번째 인상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KBO 신인상의 주인공 김택연(두산 베어스)은 연봉 1억4천만원으로 2021년 소형준이 기록한 2년 차 최고 연봉과 어깨를 나란히 했으며, 강백호(kt)는 연봉 7억원으로 지난해 김혜성(전 키움)의 6억5천만원을 넘어 8년 차 최고 연봉 선수가 됐다. FA 계약을 한 최정(SSG)은 연봉 17억원으로 21년 차 최고 연봉을 받는다.

올해 프로 24년 차로 KBO리그 등록 선수 가운데 최고 연차의 최형우(KIA)는 10억원의 연봉으로 2017년 이호준(전 NC 다이노스)의 종전 24년 차 최고 연봉 7억5천만원을 넘어섰다. 외국인 선수 최고 연봉은 멜 로하스 주니어(kt)의 180만달러(약 26억원)다.

SSG는 선수단 연봉 총액(117억2천600만원)과 평균 연봉(2억2천125만원) 모두 1위에 올랐다.

이번 시즌 KBO리그 소속 선수(신인, 외국인 선수 제외) 519명의 평균 연봉은 1억6천71만원으로 집계돼 지난해 평균 1억5천495만원보다 3.7% 상승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김영준기자 ky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