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이달 말까지 의대생들의 전원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지난해 증원 이전 수준인 3천58명으로 되돌리는 방안을 수용했다.
이에 따라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의정갈등’이 풀리며 의대생들이 학교로 돌아올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학생 복귀 및 의대 교육 정상화 관련 브리핑에서 “3월 말까지 학생들의 전원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모집인원에 대해 의총협 건의에 따른 총장의 자율적 의사를 존중한다”고 밝혔다.
앞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지난달 17일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3천58명으로 수용할 경우 의대생을 반드시 복귀시키겠다’는 취지의 건의문을 교육부에 제출했고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도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천58명으로 대학의 장이 조정할 수 있게 해달라고 정부에 건의했다.
다만, 교육부는 3월 말까지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는 경우 정원을 3천58명으로 되돌리는 방안은 철회한다는 입장이다.
교육부의 이같은 발표에 한 의대생은 “전체적으로는 진척이 됐다고 생각하고 있다”면서도 “2026학년도 의대 정원에 대해서만 언급했을 뿐 향후 의대 정원은 또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대해 불안감이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이번 발표로 의대생들을 완전히 설득했다고 보기는 어려워 향후 의대생들이 학교로 복귀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이 부총리는 “지난 1년 동안 학교 밖에서 미래의 진로를 고민하며 지냈을 여러분을 생각하면 매우 안타까운 마음”이라며 “정부와 대학은 하나된 마음으로 의학교육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학생 여러분이 캠퍼스로 돌아오기를 간절히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김형욱기자 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