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세탁소 설치·운영사업 추진
이달 용역 개시… 수요·위치 등 산출
위탁운영 땐 취약층 일자리 제공도
타지자체 참고, 내년 예산 반영 노력
인천시가 산업단지 종사자들의 작업복을 세탁하는 세탁소 설치 사업을 추진한다.
10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이달 중으로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 설치 및 운영사업’에 대한 타당성 및 실태조사 용역을 시작할 예정이다.
용역은 약 4개월이 소요될 전망인데, 인천지역 산업단지 노동자들의 수요를 파악해 세탁소를 어디에 설치하는 게 효과적인지 검증하고 운영 비용 등을 산출한다.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 설치 사업은 지난해 인천시의회가 관련 조례를 제정하면서 본격 추진됐다. 인천시의회 이순학(민·서구5) 의원이 지난해 6월 대표 발의한 ‘인천시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 설치·운영 지원 조례안’이 의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인천시가 중소 사업장에 작업복 세탁소를 지원할 근거가 마련됐다.
주조·금형·도금 등 뿌리산업 관련 제조업체가 모여 있는 서구를 비롯해 부평·주안·남동국가산업단지에도 화학물질을 이용하는 업체가 많은데, 영세 사업장이 대다수라 노동자들의 작업복에 묻은 화학물질을 곧바로 세탁할 수 있는 시설이 없는 상황이다.
인천시는 2023년부터 뿌리산업 업체를 대상으로 노동자 작업복을 수거해 세탁한 뒤 배송까지 지원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제조업종에서도 세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관련 조례 제정과 함께 세탁소 설치 사업이 본격 추진됐다.
민주노총 인천본부가 2021년 부평·주안·남동국가산단과 인천기계산단 노동자 421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한 보고서를 보면 설문 응답자의 65.5%가 작업 공정에서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작업복을 세탁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2.9%가 “집에서 작업복을 세탁하고 있다”고 했는데, 오염된 화학물질이 세탁기를 오염시킬 수 있어 꺼림칙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화학물질을 다루는 업체가 많은 공단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작업복 세탁소를 운영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2019년 경남 김해시가 한국산업단지공단 김해지사에 최초로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를 열었고, 이듬해 부산시가 강서구 미음산단에 세탁소를 설치했다. 또 광주광역시와 전남 여수시도 각각 하남산단과 여수국가산단에 작업복 전용 세탁소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각 지자체가 운영 중인 작업복 세탁소의 세탁 비용은 1벌당 500원 수준으로 매우 저렴하다. 인천시 조례에도 작업복 세탁소의 이용료를 시중 세탁 요금의 50%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책정하는 내용이 포함했다.
또 일부 지자체의 경우 지역자활센터가 세탁소를 위탁 운영하고 있어 저소득층,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일자리 제공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인천시는 타 지자체의 운영 사례를 참고해 용역이 끝나는 대로 기본계획을 수립하겠다는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용역을 통해 세탁소 위치와 연간 운영비용, 위탁 여부 등 타당성을 따질 예정”이라며 “내년도 예산에 사업이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