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재가 중증장애인 자립욕구 실태 파악
장애인 자립지원 정책발굴·수립 기초자료 마련

경기도가 광역 최초로 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지원 정책발굴·수립을 위한 실태조사를 추진한다.
경기도는 3월부터 11월까지 31개 시·군의 재가 중증장애인 1천명을 대상으로 자립욕구 실태조사를 진행한다고 11일 밝혔다.
재가 중증장애인은 병원·시설 등에 입소하지 않고 주로 가정에서 생활하는 중증장애인을 의미한다.
도는 장애인 자립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 마련과 정책시행을 위해 2016년도부터 3년 단위로 시설장애인 중심으로 실태조사를 수행했는데, 지역사회 자립지원 정책대상이 재가장애인까지 확대됨에 따라 실태조사를 진행하게 됐다.
도와 경기복지재단은 오는 17일부터 도내 시·군을 통해 조사 명단을 확보하고, 5월부터 11월까지 실태조사와 결과보고서 작성을 완료할 방침이다.
도는 해당 조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경기도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앞서 도는 시설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도 경기도 장애인 자립욕구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자립생활 정착금 증액, 장애인 공공일자리 확대 등을 추진한 바 있다.
김하나 도 복지국장은 “실태조사를 통해 재가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고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인 자립생활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사회·경제·문화적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맞춤형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정책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