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주소기반 자율주행’ 사업
행안부 공모 선정… 연말 도입

올해 말 인천국제공항에서 여행 캐리어(수하물)를 로봇이 주차장까지 운반하는 서비스가 도입될 전망이다.
인천 중구는 행정안전부에서 실시한 ‘2025년 주소체계 고도화 및 주소기반 혁신산업 창출 공모’에 중구가 제시한 ‘주소기반 자율주행 캐리어 배송 로봇 서비스 모델 실증’ 사업이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1월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자율주행 로봇 또는 주차정보 구축 등에 대한 사업 의견을 공모했다. 전국 지자체 60여 곳이 서류를 냈고, 이달 지자체 8곳에 대한 발표심사를 거쳐 인천 중구(로봇), 서울시(로봇), 대전시(주차정보), 강원 동해시(주차정보) 등 4곳이 선정됐다.
중구는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과 단기주차장에 주소기반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로봇을 통해 수하물을 배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공항 이용객의 편의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인천공항을 찾은 유아 동반 이용객이나 임산부,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입국장에서 주차장까지 로봇이 대신 수하물을 옮겨주는 방식이다. 로봇은 ‘이동 경로 공간 인프라 구축 정보’와 ‘주소기반 주차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적용돼 미리 설정한 배달 지점까지 최적의 경로로 움직인다.
사업비는 약 2억원이다. 한국국토정보공사에서 용역을 발주해 업체를 선정하면, 업체와 중구, 인천공항공사 등이 모여 사업 구체화 방안을 논의한다. 오는 11~12월 중 수하물 배송 로봇 2~3대를 도입하고 약 1년여간 실증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중구 도시행정과 관계자는 “인천공항과 협의해 공항에서 기존 운영 중인 다양한 로봇과도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며 “시범 운용을 거쳐 추후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과 장기주차장에도 수하물 배송 로봇 서비스가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