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의원들 “시 외곽 소규모 추진”
市, 기준 모호… 부지선정 난항 입장

양주시의 공동형 종합장사시설(광역화장장) 건설 계획이 정치권의 ‘백지화’ 주장으로 혼란에 빠졌다.
강수현 시장이 지난 1월 현 건설부지(백석읍 방성리 일원)와 관련, 재검토 의견이 있으면 6개월 내에 대체부지를 제시해 달라고 제안(1월9일자 10면 보도)한 이후 정치권에서 백지화 주장이 재차 제기됐다.
양주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지난 11일 기자회견에서 “양주 한가운데 최대 6만기의 납골당이 들어선다면 양주가 죽은 자의 도시, 화장장, 납골당 도시 이미지로 전락할 것”이라며 “현재 위치가 매우 부적합하다”고 광역화장장 백지화를 주장했다.
다만 이들은 “화장장이 필요 없다는 것이 아니다. 시 외곽에 소규모 화장장만 추진하자”고 밝혔다.
현 부지의 부적합 이유로 “서부권 신도시를 위해 건설되는 고속도로가 화장장 전용고속도로가 될 것이 자명하다. 수도권제1·2순환고속도로로 연결되는 대다수 장례식장 차량들이 양주로 몰려들 것이며 명절 때 성묘객들로 심각한 교통체증이 벌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민주당 시 지역위원회는 지난해 12월 “현 건설부지는 옥정·회천신도시와 양주역세권 주민이 찾는 중앙공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시는 민주당 의원들의 주장을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소규모’란 기준이 모호하고 소규모라 해도 부지 선정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시는 지난해 양주의 하루평균 5.2명 사망자 기준 시 적정 화장로 수는 최소 5기 이상이고 2045년께에는 하루평균 사망자 수가 두 배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화장장 규모도 개장 유골 처리까지 고려하고 있다. 규모를 줄여 화장시설만 운영할 경우 공설 봉안당 및 자연장지 등을 별도로 마련해야 하고 해당 부지 물색도 화장장시설 만큼이나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가 화장장 건립을 서두르는 것은 오는 2030년을 화장장 대란을 피할 ‘골든타임’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올해 1월 독감 유행으로 경기도의 3일 차 화장률은 25%에 불과했으며 전국적으로 춘천, 대구, 대전 등에서도 관외 화장을 전면 제한했다. 3일장, 5일장 문제가 아니라 화장시설이 없는 도시는 아예 화장 자체를 못하는 사태를 맞을 수 있다”고 말했다.
양주/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