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2월 잔액 1672조 발표

9천억 줄었다가 한달 만에 상승

주담대 5조 늘어 최대 비중 차지

금융권 가계대출이 주택거래 회복과 금리 인하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다시 큰 폭으로 늘었다.

12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금융권 전체 2월 가계대출 잔액은 1천672조원으로 전월보다 4조3천억원 증가했다. 지난 1월 10개월 만에 9천억원 줄었다가 한달 만에 도로 상승했다.

1금융권인 은행이 3조3천억원으로 가장 크게 증가했고 2금융권에서 1조원이 불었다. 2금융권 중에서도 특히 상호금융권(+8천억원)의 증가 폭이 컸다.

대출 종류별로는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의 비중이 컸다. 한달 사이 5조원 늘어 전월(3조2천억원)보다 증가 폭이 커졌다.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6천억여원 감소했다. → 그래프 참조

같은 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서 2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천143조7천억원으로 집계됐다.

1월 말보다 3조3천억원 큰 규모로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07조7천억원)이 3조5천억원 불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5조1천억원)은 2천억원 감소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의 경우 1월 설 상여금 유입 효과 등이 사라지면서 감소 폭이 1월 2조1천억원에서 2월 2천억원으로 줄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은행의 기업 대출도 2월 3조5천억원(잔액 1천326조4천억원) 늘었다. 증가 폭은 1월(+7조8천억원)보다 축소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 4천억원, 3조1천억원 증가했다. 중소기업 가운데 개인사업자의 대출도 4천억원 불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집값 상승의 지속기간과 지역 확대 범위, 금융권 대출 태도 등 가계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다. 금리 수준이 지금처럼 전반적으로 내려가면 대출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어 정부와 함께 유의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