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 지엠지부, 정책토론회
PHEV 등 전기차 라인 유치 필요
산업銀 등 유관기관 적극 행동도

한국지엠이 미국의 완성차 관세 부과 조치에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미 수출 의존도를 낮추고 내수 비율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지엠지부는 13일 오후 한국지엠 인천 부평공장에서 ‘한국지엠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박선원·이용우·허성무 국회의원, 조국혁신당 신장식 의원, 진보당 정혜경 의원이 공동 주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완성차 25%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한 한국지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한국지엠은 지난해 총 49만9천559대의 차량을 판매했는데 이 중 95%를 미국을 포함한 북미 지역에 수출했다. 현재 수출 구조가 유지된다면 통상 환경 변화 시 가격 경쟁력 하락, 수출 물량 감소 등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오민규 한국지엠지부 자문위원은 “한국지엠 총 판매량이 크게 늘었지만, 내수 판매 비율은 두자릿 수에서 2023년 한 자릿수로 떨어지더니 지난해에는 5% 밑으로 급감했다”며 “한국지엠이 미국의 고율 관세에 대응하려면 내수 판매 거점기지로 도약하는 데 필요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같은 전기차 생산라인 유치 등 내수 진작 방안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불확실한 통상 환경 속에서 한국지엠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한국지엠 2대 주주인 산업은행 등 유관기관이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황현일 창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외국인투자기업의 규제 체계 등이 명시된 국제규범을 활용해 정부가 대응 능력을 높여야 한다”며 “산업은행은 한국지엠의 본사 격인 글로벌GM에 공적 요구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만, 적극적인 대응은 하지 않고 있다. 한국 정부를 대표해 적극적으로 요구 사항을 내놓고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선원 의원은 이날 축사를 통해 “한국 완성차 업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한미 FTA 개정 등 예외 적용을 강력히 요구해야 한다”며 “한국지엠에 대한 관세 부과가 결국 미국의 자국 기업에도 피해로 전가된다는 점을 강조하는 등 다각도로 해결 방안을 찾는 데 힘쓰겠다”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