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초등생 사망 이후 안전 강화

귀가 지원·민원 처리하다 일 지연

17일 오전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지부 회원들이 늘봄행정실무사 업무 과중 해소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3.17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17일 오전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지부 회원들이 늘봄행정실무사 업무 과중 해소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3.17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늘봄행정실무사들이 최근 대전 초등생 사망사건 발생 이후 마련된 안전 대책으로 업무 부담이 더 커졌다며 인천시교육청에 개선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지부(이하 노조)는 17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시교육청은 늘봄행정실무사들의 기준 없는 업무 분장과 업무 과중 해소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교육부 정책에 따라 인천시교육청은 지난해 9월부터 모든 초등·특수학교에서 늘봄학교를 운영해왔다. 늘봄행정실무사는 늘봄학교 내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교육공무직으로, 인천 내 265개 학교에 1명씩 배치됐다.

대전 초등학생 사망사건 이후 인천시교육청은 ‘늘봄학교 안전 관리 강화 방안’을 도입했다. 이 방안에는 학생 이동 및 귀가 지원 인력을 추가로 배치하고, 기존 늘봄행정실무사에게도 일부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날 노조는 모호한 업무 분장으로 인해 늘봄행정실무사들이 늘봄학교 행정 업무뿐만 아니라 학부모 민원 응대, 학생별 방과후 스케줄 관리까지 도맡게 됐다고 했다. 늘봄학교 안전 관리 강화 방안이 도입된 후에는 학생 귀가 지도까지 담당해야 한다고도 했다.

인천에서 늘봄행정실무사로 근무하는 김지영씨는 “늘봄학교 교육 프로그램 행정 담당 업무로 채용됐다”며 “민원 대응과 아이들 귀가 지원을 하느라 정작 행정 업무는 퇴근 후 집에 가져가 처리해야 할 정도”라고 토로했다.

한혜경 노조 지부장은 “늘봄행정실무사들은 교무실, 행정실 등에서 늘봄학교와 관련 없는 업무를 지시받고 있다”며 “명확한 업무 분장을 통해 원활한 늘봄학교 운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천시교육청 안전복지과 관계자는 “늘봄학교 안전 관리 방안으로 늘봄행정실무사의 업무가 많아졌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며 “단기적으로는 자원봉사자를 충원하는 등 인력 확충에 힘쓰고 있다. 학교 규모 등을 고려해 효율적인 업무 분장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윤지기자 ss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