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표준 운송원가 확정후 시행
道 관리 제외한 14개 노선 71대

양주시가 ‘노선버스 공공관리제(준공영제)’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시내버스의 경우 이르면 올해 상반기 준공영제로 전환될 전망이다.
18일 시에 따르면 양주지역을 운행하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가 올해 안에 차례로 민영제에서 준공영제로 전환될 예정(2024년 12월17일자 8면 보도)이다.
시는 버스 서비스 개선과 운행의 안전성을 위해 지난해부터 준공영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버스준공영제는 서비스 공급과 노선 관리를 각각 운수업체와 지자체가 나눠 담당하면서 수익금 공공 관리, 노선 입찰, 재정 지원 등을 통해 버스 운영의 공공성을 확보하는 제도다.
시는 지난해 8월 준공영제를 위해 표준 운송원가와 회계처리기준 마련을 위한 용역을 발주, 3월 중 마무리할 예정이다. 준공영제 시행을 위한 관련 조례 제정도 지난해 12월 마친 상태다.
오는 4월께 표준 운송원가가 확정되면, 경기교통공사와 운영 및 정산 등 위수탁 협약을 맺은 뒤 우선 시내버스부터 준공영제를 시행할 방침이다.
준공영제 시행 대상은 경기도가 관리하는 노선을 뺀 14개 노선이며, 이들 노선에는 71대의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마을버스는 42개 노선에 75대다.
현재 양주지역 시내버스 업체들은 비용 상승, 적자 누적 등 경영난에 더해 임금 격차에 따른 인력난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이로 인해 서비스 질 저하와 노선 부족 등 승객은 승객대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시는 준공영제가 시행되면 버스회사의 경영 개선과 운수종사자 임금 격차 완화, 노선 조정의 유연성 등으로 버스 서비스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버스운송 서비스는 공공재 성격이 강한 만큼 운행중단 등 사회적 문제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부분 공적 개입이 불가피하다”며 “정부와 경기도의 버스 준공영제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도 있어 준공영제를 조속히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주/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