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인근 신도시까지 확대해야”

교통체증 유발 부정적 피해 주장

市 “이미 동의대상 해당마을 한정”

양주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이 들어설 부지(빨간색 선 안). /양주시 제공
양주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이 들어설 부지(빨간색 선 안). /양주시 제공

양주시와 양주시의회 야당이 ‘양주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광역화장장) 건립관련 부지 위치(3월13일자 8면 보도)에 이어 주민 의견 수렴 범위를 놓고 공방을 벌이고 있다.

양주 ‘화장장 대란’ 불보듯 뻔한데… 정치권 “백지화” 목청

양주 ‘화장장 대란’ 불보듯 뻔한데… 정치권 “백지화” 목청

제시해 달라고 제안(1월9일자 10면 보도)한 이후 정치권에서 백지화 주장이 재차 제기됐다. 양주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지난 11일 기자회견에서 “양주 한가운데 최대 6만기의 납골당이 들어선다면 양주가 죽은 자의 도시, 화장장, 납골당 도시 이미
https://www.kyeongin.com/article/1732231

20일 양주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광역화장장 부지 변경을 요구하며 해당 지역인 방성1리뿐만 아니라 방성리 전체와 인근 신도시 회천·옥정지구의 주민 의견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광역화장장이 방성1리에 건립될 경우 수도권제1·2순환고속도로 등 주요 도로의 교통체증을 유발, 이로인해 인접한 신도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다.

회천신도시에서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에서 건립 반대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반대 여론의 배경으로는 주민 의견이 충분히 수렴되지 않았다는 소통 부족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야당 시의원들은 기존 계획을 백지화하고 부지를 변경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시는 광역화장장 부지 선정 과정에서 이미 건립추진위원회가 주민 의견 수렴·동의 대상을 해당 부지 마을로 한정키로 논의·결정했다는 입장이다. 당시 건립추진위에는 각 읍·면·동 대표 11명과 전문가 5명, 담당 국·과장 외에 시의원 2명이 포함돼 있어 이같은 논의사항을 시의회에도 보고했다는 것이다.

해당 마을 주민만을 대상으로 동의를 구한 데에는 일반적으로 부지가 속한 마을 주민의 반대가 가장 크기 때문이라고 시는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화장장 건립을 추진 중인 경기도 내 연천과 광주, 양평 등지에서도 주민 동의 범위를 해당 마을로 한정하고 있다는 게 시의 주장이다.

시 관계자는 “폭넓게 의견을 듣는 것은 원론적으로는 타당하지만 주변 지역까지 주민동의서를 받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부지 선정 당시 6개 마을 신청서 접수 후 건립추진위 회의, 의회 보고, 언론보도 등을 통해 진행사항을 투명하게 공개했다”며 “이는 주변지역 여론 추이를 보기 위한 과정이었다”고 말했다.

한편 광역화장장 부지로 2023년 12월 백석읍 방성리 일원(80여만㎡)이 최종 선정된 후 투자계획을 앞둔 상황에서, 지난해 10월 말부터 시의회 민주당 측은 주요 도로 교통체증 등을 이유로 부지 선정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는 확실한 대안이 없는 부지 변경은 불가능하고 소규모의 경우도 부지 선정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돼 자칫 화장장 대란에 직면할 수 있어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양주/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