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최초로 제시… 14년간 기초 뼈대 세워

최근 안양역서 시민결의대회서 촉구 성명

도시 개발 이전에 주민 삶의 질 개선 문제

용역 이후 사업제안서 5월 국토부에 제출

최대호 안양시장
최대호 안양시장

지난 13일 안양역에서 500여 명의 안양 시민들이 한마음 한 뜻으로 목소리를 높이며 성명을 발표했다. 무엇이 안양 시민들을 분노하게 하고 모이게 만들었을까. 모두의 기대 속에 지난 2월19일 경부선 철도지하화 선도사업 대상지 발표가 있었다. ‘부산, 대전시, 안산시’. 대상지에 안양시는 없었다. ‘경부선 철도지하화 사업’이 처음으로 논의된 곳이 바로 ‘안양시’임에도 대상지에 안양시는 빠져 있었던 것이다.

안양시는 경부선 철도지하화 사업을 최초로 제시하고, 14년간 기초를 마련하며 뼈대를 세워왔다. 그렇기에 시민과 공무원들의 충격은 상당했다. 그간 철도지하화에 끊임없이 노력해왔던 모두가 망연자실할 수밖에 없었다.

본 사업은 2010년 7월 민선 5기 시장 출마 당시 공약으로 내건 사업이었고, 당시 천문학적인 사업비로 인해 이뤄지기 어려운 사업이라서 공약이 지켜지리라 믿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도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경부선으로 인해 도시가 양분되어, 안양은 발전과 쇠락이 갈리는 불균등한 도시가 되어가고 있었다. 이 문제를 누군가는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만든 공약이 바로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이었다.

2011년 1월 기본구상 용역에 착수해 6월 경부선 철도지하화의 ‘경제성, 개선 효과, 인접 지자체와의 공동 추진 필요’라는 결과를 얻었다. 다음해 7월 안양시를 비롯해 뜻을 같이하는 7개 지자체가 경부선 철도지하화 추진 협의회’를 구성했고 초대 협의회 의장을 맡았다. 7개 지자체에서 ‘경부선 지하화 촉구 서명운동’을 진행해 103만명이라는 많은 주민들의 동참을 이끌어 냈다.

18대 대통령인수위에 경부선 지하화 촉구 건의문 전달, 경부선 지하화 기본구상 용역 착수·중간·최종 보고회를 개최하여 용역보고서를 국토교통부 등 국가계획에 반영하도록 제출했다. 그 보고서가 경부선 철도지하화 사업의 기본이 됐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2023년 ‘철도 지하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 등 3개 법안이 발의돼 국회를 통과하여 드디어 2024년 1월9일 ‘철도지하화통합개발법’이 제정됐다. 이에 안양시는 2024년 11월 ‘경부선 지하화 및 상부개발 전략수립’ 용역에 착수, 12월 3일 7개 지자체가 국토교통부 평가위원회에 선도사업 제안서를 발표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철도지하화 선도사업에 안양시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은 대단히 유감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경부선 지하화는 안양시 균형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기에 여기서 멈출 수 없다.

지난 2월20·24일 안양시와 안양시의회는 철도지하화 선도사업에서 안양시가 선정되지 않은 것에 대해 문제 제기와 선정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경부선 철도지하화 사업 안양시 선정을 촉구했다. 지난 13일에는 안양역에 모여서 경부선 철도지하화 시민결의대회를 가지며 ‘경부선 안양구간 지하화 촉구 성명’을 발표했다. 김의중 경부선 철도지하화 안양 추진위원장은 “안양의 경부선 철도지하화는 도시개발의 문제이기 전에 주민 삶의 질 개선 문제”라며 “인근 6개 지자체와 연대해 2012년부터 추진해왔고 이를 염원하며 가장 오랫동안 기다려온 사람들이 바로 안양시민들”이라고 안양시 선정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안양시가 경부선 철도지하화 사업을 추진하는 가장 큰 이유는 도시의 균등한 발전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이다. 지난해 11월부터 철도부지와 주변 국공유지를 함께 개발해 사업성을 확보하는 방안 마련 등 용역을 추진 중이며 이를 토대로 5월 국토부에 철도 지하화 종합계획 반영을 위한 사업제안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안양시는 경부선 철도지하화 사업을 멈추지 않고 계속 추진할 것이다. GTX-C노선 인덕원 정차도 56만 안양시민과 함께 이뤄냈다. 이번 사업도 시민들과 함께 반드시, 최대한 빨리 이뤄내겠다. 철도로 단절된 안양시를 하나로 통합해 미래 세대에게 더 나은 안양을 물려줄 수 있도록 안양시민과 하나 된 마음으로 경부선 철도 지하화를 관철시킬 것이다.

/최대호 안양시장

<※외부인사의 글은 경인일보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