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승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오승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오는 11월 13일에 실시되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학교 교육을 충실히 받고 EBS 연계 교재와 강의를 통해 보완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출제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5일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실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26학년도 수능에 대해 공교육 범위 내인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하고,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와 적용 능력이 있는 학생이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의 문항을 출제한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과 내용에 기초해 신뢰도와 타탕도를 갖춘 문항을 출제할 방침이다.

전 영역과 과목을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과 수준에 맞게 출제하고, 수능이 끝난 후 문항별 성취기준 등 교육과정 근거를 공개할 예정이다.

EBS 연계 교재에 포함된 도표, 그림, 지문 등 자료 활용을 통해 EBS 연계 체감도를 높이고 연계율은 영역·과목별 문항 수 기준으로 50% 수준을 유지한다.

수능이 안정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두 차례 모의평가(6월·9월)를 실시해 수험생들에게 적응할 기회를 제공한다.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 영역은 변별이 아닌 고등학교 졸업자가 갖춰야 할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고, 핵심적인 내용 중심으로 출제할 계획이다.

또 지난 2022학년도 수능부터 도입된 시험 체제에 따라 국어·수학·직업탐구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가 적용된다.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사회, 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중에서 최대 2개 과목 선택이 가능하다. 올해에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영어와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로 치러진다.

장애인 권익 보호 및 편의 증진을 위해 점자문제지가 필요한 시각장애 수험생 중 희망자에게 화면낭독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와 해당 프로그램용 문제지 파일을 제공한다. 아울러 2교시 수학 영역 및 4교시 탐구 영역에서 필산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점자정보단말기도 제공한다.

한편 이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26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시행계획도 발표했다. 오는 6월 3일 실시되는 2026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역시 공교육 범위 내에서 학교 교육을 충실히 받고 EBS 연계 교재와 강의로 보완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를 유지해 출제할 예정이다. 올해 6월 모의평가는 2026학년도 수능 응시 자격이 있는 모든 수험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2025년도 제1회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에 지원한 수험생도 응시할 수 있다.

오승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은 “평가원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주관 기관으로서 수능을 공정하고 엄정하게, 안정적으로 시행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형욱기자 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