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 군·구 협력 침하 예방 주력
지하 안전관리 계획 담당자 배치

최근 서울 강동구 명일동 한 도로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땅 꺼짐) 사태로 전국에서 안전대책 마련이 요구되자, 인천시도 각종 지반침하 현상을 막으려는 조치에 나섰다.
25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3일 인천시지하안전위원회가 확정한 ‘2025년 인천시 지하안전관리 계획’을 토대로 지하 공동(空洞, 빈 공간) 조사, 노후 지하시설물 관리 등 10개 군·구와 협력해 지반침하 예방 활동을 벌이고 있다.
국토교통부 지하안전정보시스템(JIS)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는 총 13건이다. 지난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선 폭 18m, 연장 20m, 깊이 20m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해 사망자 1명, 부상자 1명을 냈다. 싱크홀 발생 원인으로는 노후 상수도관을 비롯해 지하철 9호선 연장 등 각종 공사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인천도 싱크홀 등 지반침하 현상이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인천지역 지반침하 발생 건수는 2022년 1건, 2023년 2건, 지난해 3건 등으로 총 6건이다. 특히 지난해 10월 부평구 부평동에선 폭 1m, 연장 3m, 깊이 0.5m 싱크홀이 발생해 그 위를 지나던 25t 화물차 뒷바퀴가 빠지는 사고가 발생해 주변 접근이 통제되기도 했다. 올해는 아직 지반침하가 보고되지 않았다. → 표 참조

인천시는 지반침하 원인이 지하 상하수관 손실·노후, 상하수관 공사 부실, 굴착 공사나 기타 매설 공사 부실, 토사 유출 등으로 다양한 만큼 지하안전관리 계획을 체계적으로 이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계획은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지하안전법)을 근거로 수립하는데, 법령 해석과 지하안전관리 계획 추진 등을 전담할 담당자도 최근 새로 배치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사고이기 때문에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실태 점검과 육안 조사 등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