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예술계 ‘눈가리고 아웅’ 비판

인천시가 인천아트플랫폼 ‘시민친화공간’ 조성을 이유로 입주 작가 공간을 절반으로 줄인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아트플랫폼 핵심 기능인 레지던시(예술인 창작 지원)를 축소한 것이어서 예술계는 반발하고 있다.
25일 인천시와 인천문화재단 등에 따르면 재단은 내달 인천아트플랫폼 입주 작가 모집을 시작한다. 모집 인원은 10명으로 인천지역 청년 예술가로 한정한다. 입주 작가 20명을 모집하던 것을 크게 줄여 지난해부터 10명을 뽑고 있다. 입주 작가 대상 역시 전국 단위에서 인천지역 예술인으로 제한했다.
이같은 레지던시 축소는 인천시의 아트플랫폼 시민친화 공간 조성 정책에 따라 이뤄졌다. 입주 작가들이 머무는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 동(E1~3동)은 3층짜리 건물이다. 1층을 공실로 만들기 위해 입주 인원을 절반으로 줄였다.
인천시는 입주 작가 인원이 축소된 만큼 예술인 지원의 질을 높이겠다는 구상을 밝혔지만, 지역 예술계에서는 ‘눈 가리고 아웅’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인천민예총 김창길 정책위원장은 “예술인 창작지원을 통해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지역문화 활성화 등 여러 선순환 효과가 발생하고 있었다”며 “그런 프로그램을 인천시가 임의적으로 축소한 건데, 그런 구상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올해 추가경정예산에 ‘아트플랫폼 리모델링 공사’를 반영해 올 연말까지 마무리하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입주 작가가 20명에서 10명으로 축소돼 진통을 겪고 있긴 하지만, 창작 지원은 인천아트플랫폼이 갖고 있는 고유의 목적이므로 유지할 방침”이라고 해명했다. 또 “시민 이동 동선에 따라 인천아트플랫폼 공간을 트고, 콘텐츠도 새로 개발하는 등 변화를 줄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3년 인천시는 인천아트플랫폼의 ‘레지던시’ 기능을 없애는 내용의 ‘아트플랫폼 운영 개편(안)’을 마련했다.(2023년 12월11일자 1면 보도) 당시 이 사실이 알려지며 문화 예술계에서 ‘공론화가 부족했다’는 지적과 함께 큰 반발이 일었고, 개편 구상이 무산된 바 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