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열린 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성과공유회에서 참가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2025.3.25/송윤지기자 ssong@kyeongin.com
25일 열린 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성과공유회에서 참가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2025.3.25/송윤지기자 ssong@kyeongin.com

아동·청소년 대상 ‘온라인 그루밍’ 등 인천 지역 디지털 성범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범죄 유형을 반영해 피해자 지원도 다변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오후 3시께 인천 부평구 인천여성가족재단에서 열린 ‘2025 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성과 공유회’에서 인천 지역 디지털 성범죄 피해 현황과 인천디지털성범죄예방대응센터 운영 현황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2021년 개관한 인천디지털성범죄예방대응센터는 불법 촬영, 성적 촬영물 유포 등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에게 상담, 법률 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인천에서 발생한 디지털 성범죄 건수는 2021년 844건에서 2023년 1천167건으로 증가했다. 인천디지털성범죄예방대응센터가 지원한 피해자 수도 2021년 96명이었으나, 2023년엔 387명으로 늘었다.

이날 발표를 맡은 김미선 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은 디지털 성범죄 피해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20대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는 불법촬영과 비동의 유포 협박 범죄가, 아동·청소년에게는 온라인 그루밍(성착취를 목적으로 한 대화 및 유인 행위) 범죄 비율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피해자의 특성을 고려해 지원 체계를 내실화해야 한다”며 “불법촬영물에 대한 삭제 권한을 지니기 어려운 지역 전담 센터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정부에서도 관련 법 정비 등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2부 패널 토론에 참여한 김영선 성공회대 교수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센터 운영 방향 등에 대한 논의와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며 “또 인천 지역사회 차원의 대응과 법적 차원에서 여성폭력 문제 해결 방안이 함께 논의돼야 할 시점”이라고 했다.

이날 행사는 인천지역 여성·가족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정책 방향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인천여성가족재단이 진행한 ▲디지털 성범죄 ▲여성 일자리 ▲1인가구 지원 ▲아동친화도시 조성 등 연구 결과를 주제로 발표가 진행됐다.

최정호 정책연구실장 직무대리는 “지난해 수행한 연구 결과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올해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평등 정책연구를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송윤지기자 ss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