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유일 車 출입로 ‘남문’ 지적

고성능화학차·사다리차 진입불가

방재선 없고 저수조 30분 용량뿐

모든 성벽 등 국가 사적 협의 필요

26일 오후 인천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 인근 등산로에서 인천소방본부 강화소방서 소속 소방대원들이 소방장비를 메고 화재 훈련을 하고 있다. 이날 산불 진화훈련은 최근 전국 산불 재난 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로 격상되면서 문화재 화재 예방 등을 위해 실시했다. 2025.3.26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26일 오후 인천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 인근 등산로에서 인천소방본부 강화소방서 소속 소방대원들이 소방장비를 메고 화재 훈련을 하고 있다. 이날 산불 진화훈련은 최근 전국 산불 재난 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로 격상되면서 문화재 화재 예방 등을 위해 실시했다. 2025.3.26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경북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이 확산하면서 인명·재산 피해가 커지고 있다. 전국 산불 재난 국가 위기경보가 ‘심각’ 단계로 상향된 가운데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로 알려진 인천 강화 ‘전등사’가 대형 산불에 취약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전등사 내부로 차량이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인 ‘남문’의 크기가 매우 협소해 대형 소방 장비의 신속한 이동이 어려운 상태다.

26일 낮 12시30분께 인천 강화군 길상면에 있는 전등사 남문으로 강화소방서에서 출동한 펌프차가 도착했다. 이 차량은 외부에 있는 소방대원의 수신호를 따라 느린 속도로 힘겹게 남문을 통과했다. 전등사 안에 들어와 가파른 길을 300m 정도 더 가서야 전등사 성벽 인근 산불 진화 훈련 장소에 도착했다.

이날 전등사 산불 진화 훈련에 동원된 장비 중 가장 큰 소방 차량은 5t급 규모로, 4천500ℓ의 물을 탑재할 수 있는 물탱크차와 방수할 수 있는 펌프차 등이다. 강화소방서는 이보다 더 큰 10t급 장비도 보유하고 있지만, 해당 차량은 전등사 남문을 통과할 수 없어 훈련에 동원되지 않았다.

전등사는 ‘정족산성’ 또는 ‘삼랑성’이라고 불리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능선을 따라 2천300m 길이의 성벽이 이어지며 동·서·남·북문이 있다. 이 가운데 가장 큰 문은 남문으로, 최대 높이 3.36m, 폭 2.85m에 불과하다. 원거리 방수가 가능해 산불 진화에 효과적인 고성능화학차나 높은 곳에서 방수할 수 있는 사다리차 등은 전등사에 불이 나도 동원될 수 없다.

26일 오후 인천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 인근 등산로에서 인천소방본부 강화소방서 소속 소방대원들이 화재 진압 훈련을 하고 있다. 2025.3.26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26일 오후 인천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 인근 등산로에서 인천소방본부 강화소방서 소속 소방대원들이 화재 진압 훈련을 하고 있다. 2025.3.26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전등사는 성벽을 따라 별도의 방재선이 없다. 전등사 밖에서 난 불이 내부로 이어지지 않기 위한 ‘안전거리’가 없는 데다, 나무가 빽빽해 불씨가 옮겨붙기 쉽다. 불이 잘 붙고 잘 꺼지지 않는 소나무가 전등사의 대웅전(보물 제 178호)과 약사전(보물 제179호) 뒤로 우거져 산불 발생 시 큰 피해가 우려된다는 게 전등사 관계자의 설명이다. 전등사에는 국가 보물 5점과 인천시문화재 등 총 20여 종의 중요 문화유산이 있다.

현재 전등사에는 물을 미세 분무하는 수막설비가 명부전(1개), 약사전(1개), 대웅전(2개)에 설치돼 있다. 물을 쏘는 방수총도 대웅전에 2개, 명부전에 1개 있다. 소화전은 모두 18개를 보유 중이다. 하지만 물 용량이 충분치 않다. 전등사가 갖고 있는 저수조는 120t 규모로, 수막설비와 방수총 가동 시 30분 정도면 바닥을 드러낸다. 화재 시 저수조에 추가로 물을 끌어올 수 있는 통로는 남문이 유일하다.

전등사 총무인 지불스님은 “협소한 남문을 크게 만들거나 대형 소방 차량이 다닐 수 있는 문을 추가로 만들어야 하지만, 전등사의 모든 성벽과 문이 국가 사적이어서 문화재청과 협의가 어렵다”며 “방재선 구축도 행정기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대형 장비 동원이 어려운 전등사에서 나무를 정리하고 처리하는 비용도 막대해 자체적 추진이 어려운 상태”라고 했다.

이날 전등사에서 산불 진화 훈련을 점검한 임원섭 인천소방본부장은 “산불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전등사와 강화소방서가 함께 지속적으로 훈련을 진행하겠다”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