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오른쪽) 등 재판관들이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최재해 감사원장 탄핵심판과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조상원 중앙지검 4차장검사·최재훈 반부패2부장검사 탄핵심판의 선고기일에 입장하고 있다. 2025.3.13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오른쪽) 등 재판관들이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최재해 감사원장 탄핵심판과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조상원 중앙지검 4차장검사·최재훈 반부패2부장검사 탄핵심판의 선고기일에 입장하고 있다. 2025.3.13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자 국민의힘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한 기각·각하의 목소리를 더욱 높이는 분위기다. 그동안 공개 발언을 자제해온 당 지도부 내부에서도 “탄핵 기각이 답”이라는 인식이 퍼지는 모양새다.

당 핵심 관계자는 27일 이 대표의 2심 판결과 관련해 “당장 최선의 대응은 대통령이 살아 돌아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헌법재판소는 28일 평의를 열어 윤 대통령의 선고 등 현안을 놓고 논의할 예정이지만, 실제 선고 기일이 언제 잡힐지는 미지수다. 다른 지도부 인사도 “우리가 지금 주력해야 할 것은 탄핵 심판 결과”라면서 “탄핵이 기각돼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하면 그 이후 정국 상황은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탄핵 인용 시 열리는 조기 대선은 준비 기간이 짧아 낮은 지지율에 머무는 여권의 대권 주자들이 이 대표를 추격할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측면이 있다.

친한(친한동훈)계인 박정훈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현시점에서 면죄부를 받은 이재명을 이길 수 없다. 그래서 (윤 대통령) 탄핵은 불가하다”고 주장했다.

김장겸 의원은 이날 헌법재판소 앞에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각하를 촉구하는 1인 시위를 벌이며 “나라가 어떻게 되든 권력만 잡을 수 있다는 세력이 득세하도록 둬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통령실의 한 관계자도 “이재명 대표의 무죄 선고에 대해 엇갈린 평가가 있고, 만약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해소시켜 주고, 윤 대통령의 탄핵을 인용하는 것은 큰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며 각하·기각에 무게감을 두는 모습이다.

그러면서 당내에서는 ‘반(反)이재명’을 기치로 지지층을 결속하는 움직임도 한층 강해지고 있다.

한편, 국민의힘은 선거법 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신속한 판결을 촉구하는 동시에 대장동·백현동·위례신도시 개발 비리 및 쌍방울 대북 송금 사건 등 남은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도 부각하고 있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