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부족 29.8% 애로사항 1위

“산업 활성화·효과적 확장을”

인천 블록체인 산업 실태조사 결과. /인천시 제공
인천 블록체인 산업 실태조사 결과. /인천시 제공

인천 블록체인 기업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자금 부족’으로 나타났다. 최근 인천에서도 블록체인 산업이 확장하는 만큼, 인천시 차원의 정책 마련과 지원이 뒤따라야 하는 시점이다.

인천시가 발표한 ‘인천 블록체인 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인천 블록체인 기업이 꼽은 애로 사항은 ‘사업 추진 자금 부족’(29.8%)과 ‘정부 지원금 부족’(21.1%) 순으로 많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인천 블록체인 기업 57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기록·관리하는 ‘분산형 디지털 장부’ 개념이다. 변조나 위조가 어려워 암호화폐, 금융, 스마트 계약, 유통·공급망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인천 블록체인 기업 수는 지난해 29개에서 올해 57개로 증가하는 등 산업이 확대되는 추세다.

블록체인 산업에 뛰어든 기업들이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책이나 지원(복수 응답 가능) 역시 ‘기술 개발·도입 자금 지원’(48개)이었다. 다음으로는 ‘블록체인 교육 지원’(44개), ‘공공부문 블록체인 도입 활성화’(42개), ‘대·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 지원’(40개), ‘서비스 관련 규제 개선 및 완화’(39개), ‘세제 감면 지원’(38개) 등이 뒤를 이었다.

인천 블록체인 산업 실태조사 결과. /인천시 제공
인천 블록체인 산업 실태조사 결과. /인천시 제공

이번 조사는 블록체인 기술 도입 가능성이 있는 기업 501개사에 대해서도 진행됐다. 응답 기업 중 336개사(67.1%)가 도입 의향이 있다고 했다. 이들이 원하는 지원(복수 응답 가능) 역시 ‘인건비 지원’(224개사), ‘연구개발 투자 지원’(218개사), ‘기술개발 자금 지원’(201개사) 등 대부분 재정적 지원이었다.

인천시는 이번 조사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할 의향이 있다는 기업이 절반을 넘은 만큼, 이를 실질적인 참여로 연결하도록 다양한 홍보와 지원책을 펼칠 계획이다. 블록체인 성공 사례 공유, 기업설명회 개최, 정책 간행물 발행을 비롯해 자금 등 실질적 지원 방안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이남주 인천시 미래산업국장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천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에 힘쓰겠다”며 “기존 기업과 도입 희망 기업 간 연계사업을 구축하는 등 인천 블록체인 생태계를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