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와 달리 병·의원 부족한 서부
심뇌혈관·영양·금연 등 맞춤관리
방문 힘든 노인 위한 출장 상담도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양주시에서 보건소가 운영하는 건강생활지원센터가 농촌 등 의료취약지 주민들의 중요한 ‘건강지킴이’ 역할을 하면서 의료 불균형을 해소할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양주시 서부는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 중인 동부와 달리 병·의원이 적어 의료서비스 접근이 쉽지 않다. 게다가 인구 고령화로 노인 건강관리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시 보건소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9년 서부 광적면에 건강생활지원센터를 개소했다. 건강생활지원센터는 동부에도 있지만,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주요 서비스에서 다소 차이를 보인다. 동부는 노인 치매관리, 서부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성인병 관리 서비스 이용자가 많은 편이다.
서부 건강생활지원센터는 주민자치회의, 이통장회의 등을 통해 정기적으로 주민 수요를 조사한 후 필요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이곳에서 제공하는 주요 건강관리 서비스는 신체활동, 심뇌혈관질환 예방, 영양, 금연 등이다.
주민들은 이곳에서 수시로 혈압과 혈당을 재거나 간단한 체력 운동을 하고 있다. 또 계절별로 요가교실이나 바른자세 걷기교실 등을 통해 건강관리를 받고 있다. 식단 관리가 중요한 당뇨 환자를 위한 영양교육과 조리 실습 교육도 받을 수 있다.
이곳에서는 어릴 때부터 건강관리 습관을 길러주는 어린이건강체험관도 운영돼 인근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에서 자주 이용하고 있다.
센터는 성인병 환자를 위해 고혈압·당뇨병 건강교실을 열거나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상담을 하고 있다. 만성질환의 경우에는 일대일 개별 검사를 한 뒤 결과에 따라 맞춤형 건강관리 방법을 제시해준다.
센터 방문이 어려운 주민들을 위해 출장 상담이나 교육도 제공하고 있다. 활동력이 줄어드는 노인들은 이곳에서 떨어진 근력과 균형감각을 보강할 수 있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보건소 관계자는 “농촌이 많은 지역 특성상 병원이 멀어 주민들이 평소 건강관리에 소홀하기 쉽다”며 “건강생활지원센터는 남녀노소 누구나 와서 체력과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가깝고 친근한 마을건강관리센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주/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