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학력 불문 ‘낮은 진입장벽’

복지부, 현업 종사자 4년새 73% ↑

가족간병·퇴직 등 이유 각양각색

지난 1일 오후 1시께 인천시 부평구 일신요양보호사교육원에서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는 남성 수강생들이 강의를 듣고 있다. 2025.4.1 /송윤지기자 ssong@kyeongin.com
지난 1일 오후 1시께 인천시 부평구 일신요양보호사교육원에서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는 남성 수강생들이 강의를 듣고 있다. 2025.4.1 /송윤지기자 ssong@kyeongin.com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남성이 증가하고 있다. 노년 여성의 일이라고 여겨졌던 요양보호사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남성들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지난 1일 오후 2시께 부평구 일신요양보호사교육원에선 수강생 약 40명이 수업을 듣고 있었다. 여성 수강생이 다수인 강의실에 자리한 남성 7명이 눈에 띄었다. 남성 수강생은 30대부터 70대까지 연령이 다양했다.

요양보호사 양성 학원인 이 교육원에 지난 3월부터 다니고 있는 양준기(42)씨는 “어머니를 간병하고 있는데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따면 가족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다고 해 수강했다”며 “지금은 간병에 집중할 생각이지만, 나중엔 취업이나 노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경비업 퇴직 후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준비하는 전봉열(78)씨는 “지난해 일을 그만두고 집에만 있기 무료해 새로운 일을 찾게 됐다”며 “아직은 체력이 좋아 몸이 아파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돌보는 일을 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양씨와 전씨처럼 요양보호사가 되려는 남성이 늘고 있다. 보건복지부 자료를 보면 지난해 8월 기준 현업에서 일하는 남성 요양보호사 수는 4만2천672명으로, 2020년 2만4천538명 대비 약 73%나 증가했다.

교육원 대표인 임상열(34)씨는 “6~7년 전까지만 해도 남성 수강생이 한 반에 전혀 없거나 많아봤자 2명 정도였는데, 최근에는 평균 5~10명으로 늘었다”며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에는 나이나 학력 제한이 없고 합격률도 97% 정도에 육박해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라고 했다.

요양원 등 돌봄시설에서는 남성 요양보호사 수요가 점점 늘고 있다고 한다. 2년차 요양보호사 전모(63·부평구)씨는 “주로 남성 입소자를 전담하고 있다”며 “돌봄 노동은 근력이 필요해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나 중증 입소자가 많은 요양시설일수록 남성 요양보호사의 역할이 크다”고 했다.

미추홀구에서 재가요양복지센터를 운영하는 김모(43)씨는 “같은 성별의 남성 요양보호사를 찾는 수요가 높다”면서도 “채용 후 요리나 빨래 등 돌봄 업무가 익숙하지 않아 일을 그만두는 남성 요양보호사들이 꽤 많아서 고민”이라고 했다.

박승희 성균관대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는 “스웨덴 등 복지체계가 잘 구축된 국가에서는 이미 요양산업에 종사하는 남성의 비율이 여성보다 높은 편”이라고 했다. 이어 “궁극적으로는 복지수가를 올려 요양보호사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신규 남성 보호사들이 오래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돌봄의 질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송윤지기자 ss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