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서 보낸 학창시절, 나를 정치학자로 성장 시켰다”

아임 프롬 인천 마흔여덟 번째 주인공은 제15대 주니가타 대한민국 총영사(2017년 12월 ~ 2020년 11월)를 지낸 정미애(57·사진)다.

그는 주니가타 총영사관이 창설된 1978년 이후 39년 만에 첫 여성 공관장에 오른 인물이다. 직업 외교관이 아닌 정치학자 출신의 니가타 총영사 도전은 결코 만만한 과제가 아니었다. 한일관계가 악화 일로를 걸을 때였다. 공교롭게도 그가 부임한 2017년 12월28일은 ‘한일 위안부 합의’가 있고 딱 2년이 되는 날이기도 했다.

정 전 총영사는 임기 중 한일 양국 시민 간 민간 교류를 통한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실천했다. 일본 쓰쿠바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정치경제학 전공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고, 일본어를 현지인처럼 능숙하게 구사하는 여성 공관장에게 일본 언론의 관심이 높았다. 정 전 총영사는 언론 인터뷰와 대학·단체 강연에서 “한일 민간 교류는 중단되지 않고 계속 이어나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했다. 지역신문 니가타일보에서 정 전 총영사 인터뷰를 본 독자가 “이제 우리 니가타 시민들의 차례가 왔다.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이 노력과 지혜를 모아 풀뿌리 교류를 깊게 할 때다”라는 내용의 독자 투고를 보낼 정도였다. 한일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한 그의 노력에 일본 시민이 응답한 것이다.

정 전 총영사는 인천에서 보낸 학창시절이 자신을 정치학자로 성장시켰다고 말한다.

충남 서산에서 태어나 3살 때 인천으로 온 정 전 총영사는 인천송림초, 인화여중, 인천여고를 졸업했다. 1980년대 군대와 같은 규율이 강한 인화여중을 나왔지만, 자유주의적 문화가 퍼진 인천여고에서 학생회장을 지냈다. 인천여고, 제물포고 연합 독서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면서 교양을 익혔다.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해 ‘민주주의와 광장’에 대해 고민했다. 그는 “제게 인천은 풍요롭고 자신감 넘쳤던 젊은 시절을 간직한 도시로 남아 있다”며 “성장 가능성과 잠재력이 무한한 도시인 인천이 포용력을 가진 국제도시로 나아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백효은기자 100@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