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 관세 문제 해결 위한 서한 발송
“연방정부와의 가교역할” 요청

미국 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 방침으로 경기도내 자동차 부품 수출기업들이 어려움에 처하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미시간주 주지사에게 서한을 보내는 등 대응에 나섰다.
경기도는 김동연 지사가 3일 발표된 미국 정부의 수입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25% 관세를 대응하기 위해 미시간주 그레첸 휘트머 주지사에게 협력 요청 서한을 보냈다고 이날 밝혔다.
미시간주는 제너럴모터스(GM)·포드·스텔란티스 등 미국 주요 완성차 본사가 있는 지역으로, 경기도는 지난 2011년 미시간주와 우호협력 협약을 체결한 후 첨단산업·신재생에너지 등 분야에서 신뢰 관계를 유지했다.
김 지사는 서한을 통해 “자동차 관세는 경기도뿐 앙니라 미시간주 자동차 산업 및 소비자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양 지역 기업들이 그간 쌓아온 신뢰와 협력을 토대로 계속해서 상생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주시고, 연방정부와의 가교 역할을 해주신다면 양국 간 신뢰와 협력의 새 지평이 열릴 것”이라고 했다.
이어 “주지사께서 한국 수출기업들의 어려움에 대해 미시간주 기업들에게 알려주시면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경기도는 미시간주의 혁신동맹 파트너로서 미래차 산업 및 첨단기술 분야에서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가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서한은 김 지사가 지난달 31일 평택항에서 자동차 수출기업들과 가진 비상경제회의의 후속조치다. 당시 한 참석자는 경기도의 관세 협상창구 마련을 요청했는데, 이에 김 지사는 “주요 자동차 기업 본사가 미시간주에 있는데 주지사와의 인연을 활용해 방법을 만들어보겠다”고 말한 바 있다.
한편 김 지사는 지난 2023년 4월 미국 방문 당시 미시간주에서 휘트머 주지사를 만나 혁신동맹을 제안했고, 휘트머 주지사는 지난해 3월 경기도를 방문해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