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컨구성 3%·시군 매칭 2% 구상

“소규모 기회” “재정 상황 불공평”

경기 북부 지역 대학들이 경기도의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선정기준을 두고 반발하고 있다.

경기 북부 지역 대학들은 RISE 사업 수행대학 선정기준 중 컨소시엄 구성과 시군비 매칭을 하면 가점을 주는 기존 방안대로 해야 북부 지역 소규모 대학들도 원활하게 사업에 참여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일 RISE 사업 쟁점사항 의견수렴을 위한 대학 관계자 간담회를 열었다.

이 간담회는 RISE 사업을 수행할 대학을 선정하는 평가 기준을 두고 찬반 의견이 나뉘어 이에 대한 대학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도는 RISE 사업 수행대학 선정기준 중 다른 대학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면 3%, 시군에서 일정 부분 사업비를 부담하겠다는 확약서 등을 내면 2% 등 총 배점의 5%를 가점으로 주겠다는 안을 내놨다.

그러나 도내 일부 대학들은 이 가점 방안에 대해 반대 의사를 표시하고 있다. 만점을 받아도 가점 때문에 사업에서 탈락할 수 있고 시군비 매칭의 경우 대학이 속한 시군마다 재정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불공평하다는 것이다.

반면 도내 북부 지역 대학들은 가점 안을 그대로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상대적으로 대학 규모가 작은 북부 지역 소규모 대학들이 RISE 사업에 참여할 기회를 조금이라도 더 얻기 위해서는 가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교육부가 추진하는 RISE 사업은 지자체의 대학지원 권한 확대와 규제 완화를 통해 지자체 주도로 대학을 지원하는 것으로 지난 2023년 시범 지역을 선정하며 사업이 추진돼 왔고 올해 전국 17개 시도에 도입됐다.

도내 북부 지역에 위치한 A 대학 관계자는 “지역과 대학이 상생하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 RISE 사업의 취지”라며 “‘대학이 지역을 살리고, 지역은 대학을 살린다’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대학 간 컨소시엄과 지자체의 관심을 확인할 수 있는 가점 부여가 무척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가점과 관련한 대학들의 다양한 의견들이 있었고 이 의견들을 절충해 5% 가점이라는 안이 도출된 것”이라며 “대학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절차에 따라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양주/최재훈·김형욱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