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이 선고된 4일, 인천지역 10개 군·구 여야 단체장들이 각자 입장을 내고 ‘민생안정’에 주력하겠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인천 군수·구청장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는 강범석(국) 서구청장은 “대통령 파면이라는 헌법재판소 결정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했다. 그는 “헌정질서 틀 안에서 국가 혼란과 불확실성이 해소돼 나가고 있다는 대한민국 저력을 확인하게 됐다”며 “분열과 갈등보다는 통합과 국가 발전을 위해 온 국민의 뜻이 모아지길 바란다. 민생이 흔들리거나 위협받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김정헌(국) 중구청장은 입장문을 통해 “여당 소속 정치인으로서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수용한다”고 했다. 김정헌 청장은 “이제는 ‘재조산하’(再造山河, 나라를 다시 만들다)의 시간”이라며 “갈등과 혼란을 극복하고, 자유민주주의 원칙 위에서 새로운 대한민국 도약을 위해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 어려운 민생 한파 극복에 힘쓰겠다”고 했다.
김찬진(국) 동구청장은 윤 대통령의 파면 선고 이후 즉각 민생안전 대책회의를 소집했다. 김찬진 청장은 “일상 안정과 지역 발전을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라며 “주요 현안 사업을 차질 없이 수행하고 소통 행정을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이영훈(국) 미추홀구청장은 화합과 안정된 사회를 위한 정책을 펼치겠다고 강조하면서 차기 대통령 선거가 공정하고 원활하게 치러지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영훈 청장은 “민생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최우선으로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했다.
이재호(국) 연수구청장은 “법치주의와 민주주의 원칙 위에서 대통령 탄핵 인용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며 “갈등과 분열보다는 국민통합과 민생안정을 먼저 생각할 때”라고 했다. 또 ‘흔들림 없는 민생’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면서, 삶과 일상을 지키겠다고 했다.
박종효(국) 남동구청장은 분열과 갈등을 멈춰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박종효 청장은 “국정이 하루빨리 안정을 되찾길 바란다”며 “하나된 대한민국만이 현재 위기를 극복하고 일상을 회복할 수 있다”고 했다.
문경복(국) 옹진군수는 “헌법과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받아들여야 한다”며 “국민화합을 이뤄내는 길로 나아가야 한다. 민생을 챙기고 군정을 이끄는 데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했다.
박용철(국) 강화군수는 민생안정을 위한 간부회의를 소집해 차기 대통령 선거를 위한 공직자들의 기강 확립을 당부했다. 박용철 군수는 “이런 시기일수록 공직자들이 굳건히 본연의 업무를 지키는 게 중요하다”며 “군민의 일상이 흔들리지 않고 주요 사업이 속도감 있게 진행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소속 기초단체장들은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 이제부터는 민생 안정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준택(민) 부평구창장은 “당연한 결과다. 이 결과를 내신 국민 여러분께 경의를 표한다”며 “이번 결정이 사회통합과 더 나은 대한민국의 초석이 되길 희망한다”며 “안정적이고 나은 여건에서 구민들이 생활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윤환(민) 계양구청장도 “국민의 외침과 염원이 마침내 받아들여졌다”며 “이제는 정치적 대립을 멈추고 민생안정과 경제 회복에 온 힘을 쏟아야 한다. 탄핵은 끝이 아니라 다시 시작해야 할 이유”라고 했다. 윤환 구청장은 지난달 17일부터 출근 시간대 계양구 곳곳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진행한 바 있다.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은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탄핵 선고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도성훈 교육감은 “민주주의 가치를 지켜 낸 역사적 날로 기억될 것”이라며 “오늘 결정이 또 다른 혼란으로 이어지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정치적 격변 속에서도 교육은 흔들려서는 안 된다. 학생들은 배움을 이어가고 교직원은 교육에 전념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