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첫 정기연주 ‘The First Harmony’

지난해 세계 장애인의 날 창단… 4개월만

악기 그리고 협업에 익숙해지기 위해 노력

“서로에게 귀기울이는 과정 행복했어요”

경기 리베라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첫 정기연주회를 앞두고 연습을 하고 있다. 2025.4.2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
경기 리베라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첫 정기연주회를 앞두고 연습을 하고 있다. 2025.4.2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

지난해 12월 세계 장애인의 날 창단한 경기 리베라 오케스트라가 약 4개월 만에 한층 더 풍성한 선율로 찾아온다.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오는 10일 첫 정기연주회 ‘The First Harmony’를 앞두고 있다.

경기아트센터 대극장에서 펼쳐질 이번 연주회에서는 미하일 글린카의 루슬란과 류드밀라 서곡, 하이든의 트럼펫 협주곡 E♭장조, 엘가의 위풍당당 행진곡 제1번, 드보르자크의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등을 선보인다.

김영민씨 “좋은 연주로 고유 음색 들려줄 것”

김수진씨 “행복 관해 늘 고민… 답 만나길”

경기 리베라 오케스트라 단원 김영민(왼쪽)씨와 김수진(오른쪽)씨. 2025.4.2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
경기 리베라 오케스트라 단원 김영민(왼쪽)씨와 김수진(오른쪽)씨. 2025.4.2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

지난2일 경기아트센터 리베라 오케스트라 소연습실에서 단원 김영민씨와 김수진씨를 만났다. 영민씨는 이번 정기연주회에서 드보르작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2악장을 이끄는 잉글리쉬 호른을 잡는다.

연습실에 먼저 도착한 영민씨는 긴장한 기색이 역력했다. 보호자로 함께한 어머니도 인터뷰 도중 연신 영민씨를 토닥이며 “괜찮아” “잘했어”라며 응원을 보냈다.

언론 인터뷰가 처음이라는 우려와 달리 영민씨는 정기연주회를 앞둔 심경을 꽤 담담하게 표현해냈다.

오보에를 전공한 영민씨가 잉글리쉬 호른을 잡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두 악기 모두 목관악기에 속하지만, 입모양이나 악기를 쥐는 법 등이 달라 신경써야 할 부분이 꽤 많았다고 한다.

“오보에는 맑고 청아한 소리가 난다면 잉글리쉬 호른은 슬프고 애조섞인 굵직한 소리를 냅니다. 두 악기는 닮은 듯 다르더라고요. 처음 잡아본 악기여서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합주 전 늘 일찍 와서 연습했고 월요일마다 개인적으로 연습에 시간을 더 할애했어요.”

악기에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필요했지만 영민씨는 이번에도 곧잘 해냈다. 합을 맞추는 동료들이 있어 더욱 애정을 갖고 연습에 임할 수 있었다는 영민씨. 그의 어머니가 말을 덧붙인다.

“영민이가 어렸을 때 음악 치료로 여러 악기를 접했거든요. 오보에와 피아노 중 고민했는데, 오케스트라에서 단원들과 함께 연주할 수 있는 악기가 좋겠다고 판단해 오보에를 택했어요”

실제로 영민씨에게 3개월간 리베라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활동한 데 대한 소감을 묻자 이런 답이 돌아온다.

“모두가 서로의 소리에 귀기울이면서 연습한 거 같아요. 앙상블이란 게 이런거구나 싶었습니다. 누군가와 합을 맞춰 연주할 수 있어 그 과정이 더 행복했어요. 좀 더 다채로운 레퍼토리 곡을 연주할 수 있었던 것도 좋았습니다.”

수진씨도 그간 활동한 소감을 묻자 비슷한 답을 했다. 음악을 하는 동료를 만나 행복했다는 수진씨.

사실 시각장애인인 그가 바이올린을 켜기 위해선 크고 작은 어려움이 따른다.

“가장 답답한 게 악보를 볼 수 없다는겁니다. 일단 곡을 통째로 외워야해서 같은 곡이 주어져도 다른 단원들보다 연습 시간이 더 오래걸리죠. 선생님이나 옆에 앉은 친구들 악기 소리를 듣고 좀 더 빨리 외우려고 집중하고 노력했던 거 같아요.”

그럼에도 수진씨는 관객들이 보내는 환호와 갈채에 다음 무대를 준비할 동력을 얻는다고 한다. 그는 “관객들이 연주를 듣고 박수 쳐주는 그 순간에 제가 더 빛나는 듯한 느낌이 든다”고 환하게 웃어보였다.

얘기는 자연스레 수진씨와 영민씨가 경험했던 이전 무대에 대한 기억으로 흘러갔다. 이들이 음악인으로 무대에 서는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영민씨는 카네기홀, 케네디센터 연주했고 지난해 브뤼셀 왕립음악원 무대에도 섰다. 수진씨도 롯데콘서트홀 음악회에 참가하는가 하면 국립극장 기획공연에서 바이올린을 켠 베테랑 음악인이다.

[현장르포] 경기 리베라 오케스트라 창단식… 선율 속에 장애는 무의미, 음악가의 출항기

[현장르포] 경기 리베라 오케스트라 창단식… 선율 속에 장애는 무의미, 음악가의 출항기

성형 장애인 오케스트라인 ‘경기 리베라 오케스트라’가 그 주인공이다. 경기 리베라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창단식에 참석한 관객들 앞에서 ‘넬라 판타지아’로 알려진 가브리엘 오보에, 라데츠키 행진곡 등 4곡을 연주했다. 단원들의 힘차고 아름다운 선율이 연주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0959
[인터뷰…공감] 전국 첫 인재 양성형 장애인 오케스트라… 박성호 ‘리베라’ 초대 지휘자

[인터뷰…공감] 전국 첫 인재 양성형 장애인 오케스트라… 박성호 ‘리베라’ 초대 지휘자

전국 최초 인재 양성형 장애인 오케스트라 ‘경기 리베라’ 초대 지휘자가 말하는 ‘특별함’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5388

그런 이들에게도 경기 리베라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서는 무대는 조금 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오케스트라 창단부터 지금까지 많은 이들의 응원과 격려로 이번 무대가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첫 정기연주회가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허무는 또하나의 의미있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는 게 단원들의 바람이다.

이번 연주회가 관객들에게 어떤 의미로 와닿았으면 하냐고 묻자 영민씨가 기다렸다는 듯 답했다. “감동을 주는 무대였으면 하죠. 당일에는 관객에게 좋은 소리만 전해야겠다 생각하고 무대를 즐기려고 합니다.”

수진씨도 이어 말했다. “첫 정기연주회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앞으로 더욱 활발하게 공연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대중에게 익숙하고 흥겨운 앵콜곡을 준비했거든요. 많이 기대해주세요.”

끝으로, 수진씨와 영민씨에게 음악인으로서의 최종 목표에 대해 물어봤다. 수진씨는 말했다.

“무엇을 할 때 행복한가에 대한 물음을 늘 품고 살아요. 음악을 더 오래도록 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고 싶습니다.”

영민씨는 ‘더 좋은 연주자’가 되는 게 꿈이라고 한다. 수줍은 듯 몸을 꼬았지만 그의 목소리는 분명했다.

“관객에게 다듬어진 좋은 소리를 들려드리고 싶습니다. 오보에도, 이번에 처음 시도해보는 호른도, 차분한 마음으로 악기 고유의 음색을 들려드릴겁니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