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정례 국무회의서 날짜 지정 가능성
공직 사퇴 시한 내달 4일 전 경선 끝내야
이재명, 9일 대표 사퇴 출마 공식화 우세
김문수·홍준표 등 국힘도 이번주중 출전

이제는 ‘장미 대선’이다. 대한민국의 새로운 운명을 좌우할 60일이 숨 가쁘게 전개될 예정이다.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으로 조기 대선이 확정된 가운데 오는 6월 3일 대선 실시가 유력시되고 있다.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만큼 대선 주자들은 대체로 이번 주 대선 행보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공직선거법에 따라 대통령 궐위 시엔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한다. 차기 대선일은 8일 정례 국무회의에서 지정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로선 60일이 도래하는 6월 3일이 선거일로 유력시된다.
여야 모두 이번 주 숨 가쁜 대선 레이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조기 대선 특성상 대선 일정이 두 달도 남지 않은 만큼 서둘러 대비하지 않을 수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장관·지방자치단체장의 사퇴 시한이 5월 4일이라 그 전까지 각 정당의 경선 절차가 마무리돼야 하는 측면도 있다. 이 때문에 각 정당이 적어도 이달 말께는 대선 후보를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7일 경선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를 꾸린다는 계획이고, 민주당은 대선일이 지정되는 즉시 선관위를 출범시킨다는 방침이다.
각 정당이 서두르는 만큼, 여야 대선 주자들도 발 빠르게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대선 주자들은 이번 주 거취를 정한 후 대선 레이스에 뛰어들 예정이다.
가장 유력 후보로 꼽히는 주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다. 오는 9일 대표직을 사퇴한 후 출마를 공식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지난 2022년 3월 9일 대선에서 윤 전 대통령에 고배를 마신 후 1천127일만에 대선에 재도전하는 것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두관 전 의원,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등 민주당 ‘비명계’ 주자들 역시 이번 주 출마를 선언할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원톱’ 체제 속 비명계 주자들의 견제가 심화될 것으로 보이는 점은 민주당 경선의 관건으로 거론된다. 일례로 비명계 주자들은 조국혁신당의 ‘오픈 프라이머리’ 추진에 찬성해 왔는데, 6일 혁신당이 재차 오픈 프라이머리 실시를 제안하자, 민주당이 즉각 선을 그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의 개헌 제안이 비명계 주자들에 새 물꼬를 틀 가능성이 제기되자 “내란 종식이 우선”이라며 당내 친명계 주자들이 반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여권의 경우 당원들이 확장성과 선명성 중 어느 쪽을 택하느냐에 따라 후보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비상계엄·탄핵 국면에서 여권 주자들이 제각각 목소리를 내왔기 때문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려온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거취에 가장 눈길이 쏠려있는 와중에, 홍준표 대구시장과 오세훈 서울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이 주중 대선 출마를 공식화하고 경쟁에 나설 예정이다.
당장 윤 전 대통령의 행보와 메시지에 대해서도 당내 반응이 엇갈리고 있는데, 이런 점들이 당내 경선 과정에서 어떻게 작용할지도 관건이다.
/강기정·정의종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