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핵심 상권’ 문화거리 일대
원조 경리단길은 코로나에 주춤
區, 활성 기원 지정·관광자원 기대

도시마다 그 지역을 대표하는 상권이 있다. 인천 부평구를 대표하는 상권은 ‘부평 문화의 거리’ 일대다. 경인철도 부평역 북광장 일대에 음식점와 의류매장 등 상점이 밀집해 있다.
상권을 활성화하는 건 해당 지자체의 주요 정책 목표다. 인천 부평구는 대표 상권인 이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난 2023년 이 곳에 ‘평리단길’이라는 명예도로명을 부여했다.
‘평리단길’은 부평구의 지역명칭이 아니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 있는 ‘경리단길’의 앞 글자를 부평을 뜻하는 ‘평’으로 바꾼 것이다.
경리단길은 서울의 대표적인 상권이었다. 음식점과 술집 등 개성 있는 상점들이 많아, 서울 뿐 아니라 타 지역에서도 이 곳을 찾는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다만 경리단길도 정식 명칭은 아니다.

경리단길은 1969년부터 운영된 ‘육군중앙경리단(현 국군재정관리단)’에서 유래됐다. 인근에 미군 부대가 있어 외국인들을 위한 식당과 술집 등이 많이 운영됐다. 이러한 점이 인기를 끌면서 인지도가 높아졌다. 이 지역 정식명칭은 회나무로다.
경리단길이 국내 대표 ‘핫플레이스’로 떠오르면서 각 지역 주요 상권들은 경리단길의 이름을 따 ‘X리단길’로 부르는 경우가 많아졌다. 서울에서만 ‘망리단길(마포구 망원동)’, ‘쌍리단길(창동 쌍문역 일대) 등 여러 곳이다. 부산은 ‘해리단길(해운대역 일대)’, 대구는 ‘봉리단길(중구 대봉동 일대)’이 있다.
모두 공식 명칭은 아니지만, 많은 이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X리단길’은 각 지역 핵심 상권을 일컫는 명칭으로 자리잡았다. 다만 기원이 된 경리단길은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부터 점차 활력을 잃고 있다. 지난 2022년 발생한 이태원 참사도 경리단길이 위축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참사 장소와 경리단길은 도보로 5분 안팎이면 갈 수 있을 정도로 가깝다.
인천 부평구는 다른 지역과 달리 핵심 상권을 명예도로로 지정했다. 그만큼 이 지역이 활성화하기를 바라기 때문일 것이다. 부평구가 지정한 명예도로는 부평대로32·36·38·40번길, 부평문화로65·71번길이다. 바둑판 모양이며, 전체 길이는 800m 정도다.
부평구는 평리단길이 지역 경제 활성화와 관광자원 육성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