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이후 최대 상승폭

 

1년새 2.9%… 유치원비 4.3% 증가

사립대·국공립대·전문대 ‘줄줄이’

예체능 학원비도 높은 상승률 기록

교육물가가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오르면서, 서민 가계를 옥죄고 있다.

대학 등록금은 물론 유치원비도 9년여 만에 가장 크게 오르면서, 물가 불안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3월 교육 물가(지출목적별 분류)는 1년 전보다 2.9% 상승했다. 금융위기 시절인 2009년 2월 4.8% 이후 16년 1개월 만에 최대 폭이다.

교육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사립대를 중심으로 한 등록금 인상이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집계 결과 지난 2월 20일 기준 4년제 사립대 151곳 중 79.5%인 120곳이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했다. 국공립대 39곳 중 28.2%인 11곳도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다.

실제 3월 물가지수에서 사립대납입금은 1년 전보다 5.2% 올랐다. 2009년 2월 7.1%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지역별로 부산·울산·경남이 5.6%로 가장 높았고, 서울·인천·경기(5.5%)가 뒤를 이었다.

국공립대납입금도 1.0% 올라 2022년 2월(2.1%) 이후 3년 1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사립대학원납입금은 3.4%, 국공립대학원납입금은 2.3% 올랐다. 두 항목 모두 2009년 2월(사립대 6.5%·국공립대 7.8%) 이후 최대폭 상승했다.

3월 전문대학납입금도 3.9% 상승해 2009년 2월 7.6%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유치원납입금 상승률은 4.3%였다. 2016년 2월 8.4% 상승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이다. 유치원납입금 물가는 2020년 5월부터 58개월 연속 전년 동월대비 하락했지만, 지난달 상승 전환했다.

가정학습지 물가는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11.1%의 높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1996년 12월 12.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이러닝이용료도 지난 1월 이후 3개월 연속 9.4% 상승률을 나타냈다.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5년 1월 이후 최대폭 상승률이 계속되고 있다.

음악학원비(2.2%)·미술학원비(2.9%)·운동학원비(3.9%)는 상승률이 높은 편이었다. 특히 운동학원비는 올해 3% 후반대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