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칙 개정·대선 전략 등 진통 예고
비명계·조국당 완전국민경선 요구
국힘은 尹 손절 놓고 신경전 감지
조기 대통령 선거가 확정되면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내에서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룰 개정과 대선 전략 마련을 놓고 진영 갈등이 재현되는 등 진통이 예상된다.
후보를 결정하는 관문인 경선 규칙 개정에선 국민의힘 보다 민주당이 더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민주당 내부에선 지난 19·20대 대선과 비슷한 권리당원 중심의 국민경선 방식으로 후보를 선출하려는 분위기가 우세하다.
그러나 비명(비 이재명)계와 조국혁신당이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을 요구하며 경선 보이콧 분위기까지 나오는 등 후보간 갈등이 점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먼저 4·2 재보선 담양군수 당선으로 무시할 수 없어진 조국혁신당은 ‘범진보 통합 완전국민경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날 대선 출마를 공식화한 김두관 전 의원 역시 이재명 대표와 날을 세우며 가세했다.
김 전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결과가 예정된 선거는 정치 후진국에나 있는 일”이라며 “혁신당이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자”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이르면 16일, 늦어도 20일부터 권역별 순회경선에 들어갈 예정인데, ‘어대명’(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경선이 되면 경선에 불참하겠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경선 룰에 대한 갈등 소지보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손절’ 등 대선 전략 수립을 놓고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당 지도부는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윤 전 대통령 파면 사흘 만에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를 띄웠다. 5선의 원로급 인사인 황우여 전 비대위원장을 선임하고 이양수 사무총장 등 11명의 위원을 구성하며 속도감 있게 대선 준비에 나섰다.
이는 계파 갈등 차단과 당내 통합 등을 우선순위에 두고 대선에 임하려는 의지로 읽혔다. 따라서 현재 당헌 당규대로 경선을 치를 가능성이 높아졌고, 이에 불복할 분위기는 아직 감지되지 않고 있다.
다만, 전날 열린 의원총회와 의원 온라인대화방에서는 대통령 탄핵 찬성파였던 조경태·김상욱 의원에게 탈당을 요구하는 친윤(친윤석열)계 강경파의 비판에 맞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출당 및 손절 분위기 확산으로 진영 간 갈등이 재점화할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정의종·김우성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