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 후보 화두나 다름없어 ‘신중’
명분·당위성 등 쉬운 각인 필요도
그간 행보 통해 ‘통합’ 메시지 유력
인천시장직 사퇴 여부도 관심사항

유정복 대선 캠프 명칭에 관심이 쏠린다. 대선 출마 초읽기에 들어간 유정복 인천시장은 국민의힘 경선 후보 등록을 앞두고 캠프 작명(作名)에 공을 들이고 있다.
캠프 명칭은 유 시장이 대권 후보로서 던질 화두(話頭)나 다름없다는 점에서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다. 그가 이번 선거를 치를 명분과 당위성이 캠프 명칭에 담긴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캠프 명칭은 후보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치 철학과 국정 운영 비전을 담아내는 동시에 대중에게 쉽고 분명하게 기억될 수 있도록 정해야 한다.
과거 대권 주자가 사용한 캠프 명칭에는 ‘국민’ ‘성공’ ‘행복’ 등의 단어가 담겼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민성공캠프’로 정했고 박근혜 전 대통령은 ‘국민행복캠프’, 문재인 전 대통령은 ‘더문캠’, 윤석열 전 대통령은 ‘국민캠프’라는 이름을 썼다.
유 시장이 캠프 명칭을 통해 제시할 화두에 ‘통합’의 단어가 담길지 아니면 ‘경제’ 혹은 ‘민생’을 뜻하는 단어가 포함될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그간 유 시장의 정치 행보를 보면 ‘통합’의 메시지가 강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 시장이 최근 출간한 저서의 제목이 ‘대한민국 대통합, 찢는 정치꾼, 잇는 유정복’이다. 양극단으로 찢긴 우리 사회를 통합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유 시장이 줄곧 주창한 ‘지방분권 개헌’ 메시지도 큰 틀에서는 대한민국 대통합을 위한 것이다.
유 시장 측 인사는 “선거를 치를 방향성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캠프 내부에서 치열하게 고민 중”이라며 “조만간 날짜와 형식을 정해 알릴 것”이라고 했다. 또 “국민께 어떤 이야기를 드려야 할지 정성을 다해 출마선언문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인천시장직 사퇴 여부도 관심 사항인데, 현직을 내려놓는 배수진을 치고 경선을 치르는 전략은 채택하지 않기로 했다고 캠프 관계자는 전했다.
유 시장은 지방분권 개헌 논의 성사 여부와는 무관하게 대권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된다. 유 시장은 ‘지방분권 전도사’를 자처하며 개헌론을 내세웠는데, 개헌 논의가 불발되더라도 대선 도전 의지에는 변함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방분권 개헌의 필요성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검증된 후보’ ‘중도보수’ 이미지를 부각하면서 ‘국정 안정론’을 내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경선 과정에서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고 정치적·정책적 선명성을 드러내는 것은 그에게 주어진 과제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