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과천 등 18개 시군 임차 운행

반면, 이조차 없으면 인근에서 빌려

동시다발땐 조종사 체력 한계 등

“국가지원 통해 임차 역량 갖춰야”

산불 초기 진화를 담당하는 경기도내 산불진화헬기가 민간임차 방식으로 운영되는 가운데 지자체의 재정 상황에 따라 헬기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겨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8일 오후 경기도내 한 헬기계류장에서 산불진화헬기가 운항 준비를 하고 있다.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2025.4.8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산불 초기 진화를 담당하는 경기도내 산불진화헬기가 민간임차 방식으로 운영되는 가운데 지자체의 재정 상황에 따라 헬기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겨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8일 오후 경기도내 한 헬기계류장에서 산불진화헬기가 운항 준비를 하고 있다.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2025.4.8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경기도 내 일부 시군이 지역에 대기하면서 초기 산불을 진화하는 헬기조차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 대형 화재에 무방비로 노출된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8일 산림청 등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는 산림청의 거점 헬기가 없으며, 다른 지역 항공관리소 4곳(서울·비무장지대·진천·산림항공본부)에서 나눠 관할하고 있다.

다만,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소방헬기 2대가 있는데, 이 헬기는 화재 진압이 아니라 응급 환자를 이송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산불을 끄는 데 투입하긴 어렵다.

이에 따라 수원·과천·용인 등 18개 시군에선 민간 헬기를 임차해 운행하고 있다. 임차 헬기가 산불 초동 진화를 담당하고, 불길이 거세지면 산림청 헬기가 출동하는 식으로 화재를 진압한다.

지자체의 예산 사정에 따라 헬기 보유 능력이 갈리면서 일부 시군은 산불 진화용 임차 헬기조차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들 지역은 산불이 발생하면 인근 시군에 있는 임차 헬기가 대신 출동한다.

산불 초기 진화를 담당하는 경기도내 산불진화헬기가 민간임차 방식으로 운영되는 가운데 지자체의 재정 상황에 따라 헬기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겨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8일 오후 경기도내 한 헬기계류장에서 산불진화헬기가 운항 준비를 하고 있다.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2025.4.8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산불 초기 진화를 담당하는 경기도내 산불진화헬기가 민간임차 방식으로 운영되는 가운데 지자체의 재정 상황에 따라 헬기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겨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8일 오후 경기도내 한 헬기계류장에서 산불진화헬기가 운항 준비를 하고 있다.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2025.4.8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실제 지난달 22일 연천군 백학면 전동리 야산에서 불이 나자 포천시의 임차 헬기가 불을 끄는 데 동원되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자 동시다발적으로 산불이 날 경우, 잦은 출동에 조종사의 체력이 한계에 달하거나 헬기 확보에 차질을 빚어 대형 화재로 이어지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임차 헬기가 없는 한 지자체 관계자는 “지자체에서 확보한 예산보다 높은 금액을 제시한 시군이 나타나면서 계약 경쟁에서 밀렸다”면서 “대형 화재가 잇따르는 만큼 임차 헬기 확보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고기연 한국산불학회장은 “대용량 소화용수를 담은 채 멀리서 출동하는 산림청의 헬기를 초기 진화에 동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라며 “지역에 대기하면서 현장에 빠르게 접근해 불을 끌 수 있는 헬기가 필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산불 기간 잠깐 사용할 헬기를 보유하기 위해 조종사, 계류장 등 수억에 달하는 관련 인프라를 시군마다 마련하는 것도 부담이라는 점에서 임차가 현실적 대안”이라면서 “국가에서 재정을 지원해 시군 간 헬기 임차 역량에 차이가 없게 하는 게 최선”이라고 덧붙였다.

/마주영기자 mango@kyeongin.com